2015062301010015023
신경숙 작가.이주상선임기자.rainbow@sportsseoul.com

[스포츠서울]문학계가 표절로 몸살을 앓고 있다.

도화선은 지난 16일 소설가 이응준이 한 온라인 매체에 ‘우상의 어둠, 문학의 타락―신경숙의 미시마 유키오 표절’이란 글을 올리면서 시작됐다. 이응준은 이 글에서 소설가 신경숙이 단편소설 ‘전설’에서 일본 문학의 거장 미시마 유키오의 ‘우국’을 표절한 사실을 폭로했다.

이응준의 폭로 이후 신경숙의 또다른 소설에도 표절 의혹이 잇따랐다. 신경숙의 소설 제목이 시인의 시 제목을 무단으로 가져다 사용했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또 소설 ‘엄마를 부탁해’는 자신의 에세이를 신경숙이 훔쳐간 것이라고 주장하는 이도 나왔다.

이 글을 본 네티즌들은 SNS에 문제의 표절 글을 공유하면서 ‘우리 문학의 타락’이라며 분노했다. 신경숙의 표절 논란은 15년 전에도 제기됐지만 유야무야 잦아들었다. 이번에도 그럴 것이라고 예상하고 “표절논란은 당사자만 피해를 본다. 대응하지 않겠다”고 했던 신경숙은 며칠 뒤 “표절로 볼 수 있겠다. 자숙하겠다”고 사과했다.

문학계의 표절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금까지 수많은 표절 논란이 제기됐지만 별다른 후속 조치 없이 넘어간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나마 이번에 신경숙의 사과를 받아낼 수 있었던 것은 SNS의 승리라 할 수 있다.

신경숙의 경우 이미 타계한 작가의 작품을 표절했지만 작가 지망생의 작품을 기성 작가들이 표절해 발표하는 사례도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소설가 주이란은 자신이 200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응모한 소설 ‘혀’를 예비 심사위원이었던 소설가 조경란이 표절해 같은 제목의 장편소설로 펴냈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러나 조경란이 적극 부인하며 종결됐다.

표절 논란은 계속된다. 표절은 법적으로 입증하기까지 과정이 쉽지 않다. 또 문장 몇개의 일치로는 저작권 침해로 보기 어렵다는 게 법률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표절 문제를 작가의 양심에 맡길 수 밖에 없기에 계속 똑같은 문제가 반복될 수 밖에 없다.

근본적인 해결책은 결국 문학계의 자정노력 뿐이다. 표절할 경우 작가로 살아남기 어려운 문화를 만들어가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이다. 표절해도 아무 문제 없이 부와 명성을 거머쥐고 살 수 있다는 인식이 통용된다면 어느 누가 뼈를 깎는 창작의 고통을 짊어지겠는가. 이번 신경숙 표절 논란에서 교훈을 얻지 못한다면 정말 우리 문학의 미래는 어두울 수 밖에 없다.

김효원기자 eggroll@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