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서울 | 최규리 기자] 도널드 트럼프가 4년 만에 미국 대통령직에 복귀하며 ‘미국 우선주의 시대 2.0’을 선언했다.

2017년부터 제45대 대통령으로 재임했던 그는 20일(현지시간) 워싱턴 DC 연방의회 의사당 로툰다에서 취임 선서를 통해 제47대 대통령으로서 두 번째 임기를 시작했다. 취임사에서 “미국의 황금시대는 이제 시작된다”며 1기와 마찬가지로 ‘아메리카 퍼스트’(미국 우선주의)를 국정 기조로 강조했다.

그는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군대를 건설하겠다”면서도 “우리가 승리한 전쟁이 아닌, 끝낸 전쟁과 시작하지 않은 전쟁으로 평가받을 것”이라며 대외 군사 개입을 자제하는 ‘트럼프판 신고립주의’를 선언했다. 또 “내 유산은 평화중재자이자 통합자로 기억될 것”이라며 미국의 힘이 세계 통합에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동맹국의 안보 부담을 강화하고 미국의 주권과 안전을 회복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미국의 프런티어 정신을 강조하며 “다음 모험이 우리를 부르고 있다”고 말한 그는 멕시코만을 미국만으로, 파나마운하 운영권을 다시 가져오겠다고 밝히며 논란을 예고했다.

국내 정책에서는 전임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 정책 ‘그린 뉴딜’ 종료를 선언하고 무역 시스템 재점검 및 관세 확대 방침을 발표했다. 구체적 관세율은 공개하지 않았다. 남부 국경에는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하며 강경 이민정책을 예고했다. 또, 석유 시추 확대와 전략 비축유 채우기를 통해 에너지 자급자족을 강조하며 파리기후변화협정 탈퇴를 재차 선언했다.

사회적 이슈에서도 성소수자 권익 증진 정책을 폐기하고 “남녀 2개 성별만 인정하겠다”고 밝혔다. 취임 당일 오후에는 주요 정책 시행을 위한 행정명령 서명에 나섰다.

취임사에서 트럼프는 자신이 총격을 받았던 일을 언급하며 “신의 뜻으로 살아남았다”며 개신교 신앙을 강조했다. 또한 “미국의 쇠퇴는 끝났고, 오늘은 해방의 날”이라며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알렸다.

대외적으로는 구체적 국제 문제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았으며, 중국, 러시아, 북한에 대한 언급은 제한적이었다. 부통령 JD 밴스는 트럼프의 ‘MAGA’ 이념을 이어갈 적자로 평가받으며 이날 취임했다.

트럼프는 2020년 대선 패배와 의사당 폭동 사태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대선에서 승리해 역대 최고령(78세) 대통령으로 백악관에 복귀했다. 이는 그로버 클리블랜드 이후 132년 만에 전임 실패 후 재선에 성공한 사례다. 공화당이 상·하원을 장악하고 보수 우위 연방대법원을 기반으로 강력한 권력을 행사할 것으로 보인다.

취임식은 강추위로 실내에서 진행됐으며 약 800석이 마련된 로툰다와 1800석 규모의 노예해방홀에서 열렸다. 일부 지지자들은 캐피털원 아레나에서 생중계를 시청했다. 이후 트럼프는 지지자들 앞에서 바이든 행정부의 행정명령 78건을 취소하고, 1·6 사태로 처벌받은 인사들을 사면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2기 정부는 ‘미국 우선주의’, ‘안보 무임승차 불가’, ‘힘에 의한 평화’, ‘관세 제일주의’ 등을 국정 핵심 기조로 삼으며 글로벌 안보와 통상 질서에 대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gyuri@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