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서울 | 홍성효기자]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돕기 위한 ‘청년도약계좌’가 이달 출시를 앞두고 있지만 청년소득공제펀드(청년펀드), 청년희망적금처럼 용두사미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12곳의 은행은 8일 은행연합회 홈페이지에 청년도약계좌 금리를 사전 공시할 예정이다. 1차 공시 이후 타행과의 금리 비교·조정 등을 거쳐 12일 최종 금리를 발표할 예정이다.

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매달 70만원 한도로 적금하면 지원금(월 최대 2만4000원) 등을 더해 5000만원가량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상품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청년층의 자산형성을 위해 대선 공약으로 내건 정책금융상품이다. 연소득 7500만원 이하면서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인 19∼34세 청년이면 가입할 수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청년층이 매달 40~70만원을 만기까지 저축할 여력이 있느냐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온다. 청년도약계좌와 유사한, 문재인 정부 시절 출시했던 정책금융상품 ‘청년희망적금’의 경우를 보더라도 지난해 2월 가입자는 286만8000명에 달했지만 같은 해 말 기준으로 적금을 유지한 가입자는 241만4000명으로 45만여명이나 줄었다.

아울러 청년도약계좌는 만기가 길고 특별중도해지 요건이 많지가 않다는 지적도 있다. 5년 만기 전 특별중도해지 요건은 가입자의 △사망·해외이주 △퇴직 △사업장의 폐업 △천재지변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생애최초 주택구입 등이다. 이런 경우를 제외하고 중도해지하게 되면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다.

또한 청년도약계좌 출시 예정인 은행들은 이자 지급 부담이 커 금리 하락기에 수익성 저하가 우려된다는 입장이다. 5년간 월 70만원 납입 시 5000만원을 지급하는 구조로 맞추려면 약 6~6.5% 수준의 금리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는 현재 3%대인 정기예금의 약 두 배에 달한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정부가 추진하는 일에 당연히 함께 해야 되는 건 맞지만 재무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는 고민되는 부분도 있다”며 “금리에 따라서 손해를 볼 수도 있는 상황이라서 고려할 부분도 많다”고 말했다.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청년도약계좌 취지 자체가 청년들을 지원하겠다는 정부의 의지이지만 그 중 대부분의 부담을 은행에게 주고 있는 상황”이라며 “금리는 자율적으로 설정하게 하지만 1, 2차공시를 진행하는 것은 비슷한 최고 금리 수준으로 맞추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한편, 금융당국은 청년들의 자산 형성 효과를 확대하기 위해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재직자)내일채움공제 △지자체 상품 등과의 동시 가입을 허용했다. 다만 청년도약계좌와 사업목적이 비슷한 ‘청년희망적금’은 중복가입이 안 된다. 청년희망적금 만기 또는 중도해지 이후 순차가입만 가능하다.

shhong0820@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