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럴림픽] ‘패럴림픽, 아름다워라’
2020 도쿄 패럴림픽 폐막식. 연합뉴스

[스포츠서울|도쿄=배우근기자] 2020도쿄 패럴림픽(8/24~9/5)이 13일의 열전을 마쳤다. 폐회식에서 밝게 타오르던 성화가 꺼졌다.

대회 기간동안 자주 들은 얘기가 있다. “일본이 예전 같지 않다”는 말이다. 도쿄에 정착한지 20~30년이 넘은 교민들이 그렇게 한탄했고 패럴림픽을 취재하러 온 베테랑 기자들도 고개를 끄덕였다. 지난달 20일 나리타 공항에 도착했을 때부터 ‘일본이 이상하다’는 느낌을 나 역시 받았다.

[패럴림픽] 패럴림픽 폐막식 시작
2020 도쿄 패럴림픽 폐회식. 연합뉴스

꽤 오랜기간 일본은 우리에게 부러움의 대상이었다. 일제 자동차와 전자 제품은 전세계를 휩쓸었고 다양한 일본 문화는 전파를 타고 널리 퍼졌다.

일본인 특유의 미소는 서구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여유에서 나오는 듯했다. 그러나 오랜만에 찾은 지금의 일본은 달랐다.

KakaoTalk_20210906_134951185
나리타 공항에서 검역 대기중인 선수단과 취재진. 비효율적인 시스템으로 5시간 넘게 공항에서 발이 묶였다.

입국자에 대한 코로나19 방역부터 비효율의 극치였다. 검역 과정도 부실했다. 서류가 넘쳐나는 나라답게 형식에만 갇혀 있었다.

공항을 빠져나와 숙소에서 자가격리를 3일간 할 때는 더 허술했다. 서류에 이름을 적고 사인을 하는게 중요하지, 취재진이 실제 어디로 얼마나 다니는지는 관심 밖이었다. 눈가리고 아웅하는 식이었다. 완벽을 추구하던 일본은 없었다.

KakaoTalk_20210906_135619630
보치아 경기가 열린 아라아케 체육관

패럴림픽 현장에서도 비슷한 경험은 계속됐다. 관계자와 자원봉사자는 취재진의 요청에 허둥지둥 했다. 우리가 뭔가를 물어보면, 그는 또다른 누군가에게 물어보기 일쑤였다.

경기장 사전취재 등록도 유명무실했다. 앱을 통해 하루전에 취재를 예약하는 시스템인데 무의미했다. 실제 대다수 경기장에서 기자의 사전등록 여부를 확인하지 않았다.

KakaoTalk_20210906_134754202
노을지는 고쿄, 일왕이 거주하는 왕궁이다.

일본에 오래 거주한 교포들은 “이젠 지갑을 잃어버려도 돌아오지 않는다. 돌아와도 돈은 사라지고 없다”라고 달라진 분위기를 전했다.

십수년전 기억과 오버랩됐다. 도쿄에 야구출장을 왔는데, 동료가 지하철에 노트북 가방을 두고 내렸다. 군인이 총을 잃어버린 상황과 같아 다급하게 역사에 전화를 했다. 지하철 관계자는 “역 종점에서 잘 보관하고 있으니 찾아가라”고 했다. 당시 놀란 가슴을 쓸어내리며 안도했던 기억이 선명하다.

사소한 사건이었지만 그 후로 ‘일본사회가 정직하다’는 인상을 갖게 됐다. 유럽 관광지나 미국 대도시에서 카페 테이블에 지갑이나 휴대폰을 올려두고 자리를 비우면 금세 사라진다. 물건을 두고 간 사람이 바보다.

KakaoTalk_20210906_134805782
도쿄역 주변

정직과 청렴은 환경에 의해 제어되는 측면이 있다. 일본인이 남의 물건을 손대지 않는 건, 주변 시선을 늘 의식하고 살기에 그렇다. 한국에선 사방의 CCTV가 그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일본이 아무리 이전 같지 않고 과거의 한 지점에서 멈춰버린 사회처럼 느껴져도, 여전히 우리보다 나은 점이 두루두루 보였다. 특히 청결한 도로와 미소 띤 얼굴이 자주 눈에 띄었다. 경찰, 주차안내원, 자원봉사자, 경기장 관계자 모두 스스럼없이 방싯하며 인사했다. 시킨 게 아닌 몸에 배어 있는 태도였다.

혼네와 다테마에가 다른게 일본인의 특징이라고 한다. 그들이 보여준 미소는 가식일 수 있다. 그럼에도 무표정 보다는 웃는 얼굴이 낫다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KakaoTalk_20210906_134906787
도쿄 다이몬역 주변 거리.

운전 문화도 인상적이었다. 3주 가까이 여러 경기장을 수없이 다녔는데 경적 소리는 딱 두 번 들었다. 경기장까지 걸어서도 많이 오갔는데 사람이 보이면 차량이 양보하며 멈췄다. 사람에 대한 배려가 묻어났다.

자동차는 보행자보다 먼저 지나가지 않았고 횡단보도로 슬금슬금 밀고 들어오지 않았다. 도쿄의 차들은 대체로 소란스럽지 않았다. 좁은 길에서도 사람과 자전거는 보호받았다. 나는 개인적으로 운전 문화를 그 나라의 문화 척도라 생각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적 표준을 만들고 새 기준을 제시할만큼 성장했다. 다른 나라가 따라올만큼 국제적 위상이 부쩍 올라갔다. 그러나 사람을 대하는 사소한 배려나 길거리 문화만 놓고보면 20년 간 정체된 일본만 못하다.

물론 코끼리 다리를 만지고 나무라고 착각하는 우를 범할 수 있다. 하지만 올림픽과 패럴림픽 메달보다 그들의 몸에 습관처럼 배어 있는 태도가 더 탐났다. 그건 단기간에 만들어지지 않고 오랜 시간 숙성되어야 몸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kenny@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