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포토] KBO 신인 드래프트,  우리가 한국 야구의 미래다!
‘2018 KBO 신인 드래프트’가 11일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진행된 가운데, 프로 구단들의 지명을 받은 신인 선수들이 한데 모여 선전을 다짐하는 포즈로 기념촬영에 응하고있다. 김도훈기자 dica@sportsseoul.com

[스포츠서울 장강훈기자] 신인 드래프트에서 대졸 예정자들이 홀대받는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2018 KBO 신인 드래프트에서 1차지명자까지 포함해 프로 유니폼을 입게된 110명 중 대졸 예정자는 단 18명뿐이다. 전체 16% 수준이다. 전국 31개 대학에서 207명의 졸업예정자가 사실상 유일한 취업 공채에 응시했지만 단 8%만이 관문을 통과했다. 지명을 받은 선수들 가운데서도 47%에 해당하는 8명은 사실상 기대를 받지 못하는 8~10라운드에 지명됐다. 프로 스카우트들은 “대졸 예정자들에 대한 냉담한 반응은 시간이 갈수록 커질 것”이라고 귀띔했다. 기량이 기대를 밑돌고 성장속도도 고졸 신인들보다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기 때문이다.

수도권 대학의 한 감독은 “사실 야구부가 학교측의 눈엣가시로 전락한지 꽤 됐다”고 말했다. 다른 종목에 비해 인원이 많고 고가의 장비를 활용해야 해 운영비가 많이 들어간다. 대학리그 자체 인기도 사실상 없어 애물단지 취급을 받는데 취업율까지 낮으니 운영할 이유가 줄어들고 있다. 모 감독은 “각 대학이 대부분 긴축재정을 하고 있다. 비용을 줄이려면 가장 먼저 운동부를 겨냥할 수밖에 없는데 그 중에서도 야구부가 첫 번째 타깃”이라고 한탄했다. 수차례 전국대회 우승을 차지했던 프로출신 감독들조차 “우승해도 기사 한 줄 나가지 않으니 학교 측에서 ‘야구부 운용 무용론’을 제기한다”며 안타까운 표정을 지었다.

[SS포토]KIA타이거즈의신인드래프트선택은?
KIA 타이거즈의 신인 드래프트 지명을 받은 선수들이 11일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진행된 ‘2018 KBO 신인 드래프트’를 마친 뒤 기념촬영에 응하고있다. KIA는 2차 드래프트 1순위로 세광고 김유신, 2순위로 성남고 하준영, 3순위로 부산고 이원빈, 4순위로 경기고 오정환, 5순위로 경성대 윤희영 등을 선택했다. 김도훈기자 mycall@sportsseoul.com

머지 않은 시일 내에 대학 야구부가 사실상 제 기능을 상실한다고 가정하면 그 파장은 고스란히 고교 선수들에게로 확대된다. 올해 드래프트에 신청한 고졸 예정자는 754명인데 이 중 82명만 프로구단의 선택을 받았다. 전체 졸업 예정자의 약 10%만 조기취업에 성공했다. 나머지 90% 중 대부분은 대학 진학을 재도전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그런데 대학 야구부가 사라지고, 자연스럽게 체육특기자전형도 폐지되면 프로에 지명받지 못한 고졸 선수들은 갈 곳을 잃는다. 대학 졸업 이후에도 마찬가지다.

학생선수들에게 학습권을 보장하는 정책은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국대회 성적이 대학 입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공부와 운동을 병행하는 문화가 정착되려면 유소년 때부터 취미로 야구를 할 수 있는 클럽 문화가 최소 고교 1학년까지 이어져야 하는데 리틀야구로 대표되는 클럽 야구는 중학교 이후부터 엘리트 야구에 밀려 설 자리를 잃고 있다. 전국대회 성적이 지상 목표인 고교에서도 엘리트 선수 중심으로 학생을 선발하기 때문에 진학제도 개선 없이 저변확대가 어려운 게 현실이다.

[SS포토] \'KIA의 2차 1순위\' 김유신, 이제는 타이거즈맨!
넥센 히어로즈의 신인 2차 1순위로 지명을 받은 상무 김선기(왼쪽)와 KIA 타이거즈의 2차 1순위로 지명받은 세광고 김유신이 11일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진행된 ‘2018 KBO 신인 드래프트’에 참여해 플래시 세례를 받고있다. 김도훈기자 dica@sportsseoul.com

때문에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와 한국야구위원회(KBO), 10개구단뿐만 아니라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정부가 머리를 맞대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구단이 체계적인 유소년 클럽 시스템을 운영하고 3군과 대학리그의 통합, 실업야구 부활 등으로 고교 졸업 후 프로 입문에 실패한 학생 선수들에게 재도전의 기회를 만들어줘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산학협력으로 대학 야구부와 KBO리그 구단이 선수 선순환 시스템을 만드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고사해가는 대학리그를 살리고 아마추어 야구의 저변을 넓히기 위해 한국형 마이너리그 시스템을 서둘러 정착시켜야 한다.

zzang@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