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서울 | 황철훈기자] 전립선 비대증은 70대 이상 남성 대부분이 겪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젊은 층에서도 심심치 않게 나타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젊다고 방치하다가 더 큰 합병증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자료에 따르면 전립선 비대증으로 진료받은 환자 수는 2012년 약 89만 명에서 2021년에는 약 135만 명으로 10년 새 34% 가량 늘었다. 환자의 90%가 50대 이상이지만 젊은 층 환자의 증가세가 눈에 띈다. 실제 20대 환자 수는 2012년 1317명에서 2021년 2811명으로 약 53% 증가했으며, 30대 역시 같은 기간 9215명에서 1만2332명으로 약 25% 늘었다.

인천힘찬종합병원 비뇨의학과 이장희 과장은 “전립선 비대증의 주요 원인이 노화인데, 나이가 들면 전립선이 커지면서 요도가 좁아져 소변을 보기 어려운 증상을 겪기 쉽다”라며 “최근 음주, 비만, 스트레스, 서구화된 식습관 등의 영향으로 젊은 남성에서도 유병률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전립선 비대증, 방치 시 다양한 합병증 발생

전립선은 남성에만 있는 장기로 방광 아래 위치해 정액을 만들고 이를 저장했다가 외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전립선 비대증은 전립선이 비대해지면서 소변이 나오는 요로를 압박해 나타나는 배뇨 질환이다. 특히 겨울철에 증상이 더욱 두드러지는데 이는 기온이 낮아지면 전립선 근육이 수축하면서 요도를 압박하기 때문이다.

전립선 비대증은 노화가 주원인이지만, 오랜 시간 자리에 앉아서 일하는 환경이나 운동 부족, 과도한 음주와 흡연, 약물 복용, 서구화된 식습관 등이 위험인자로 작용해 최근에는 젊은 층의 발병률도 꾸준히 높아지는 추세다.

전립선이 비대해지면 수도꼭지가 막히듯 소변 배출 속도가 느려지고 소변 줄기도 가늘어진다. 소변을 본 후에도 잔뇨감이 들 수 있고, 막상 화장실에 갔지만 소변이 잘 나오지 않아 불편을 겪기도 한다.

특히 전립선 비대증을 오랜 기간 방치할 경우 소변을 못 보는 급성 요폐 증상이 발생하거나 요로 감염, 방광 내 결석, 신장 기능 손상 등 다양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배뇨장애와 같은 증상이 일시적이지 않고 빈번히 발생한다면 젊다고 안심하지 말고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조기 진단과 생활 습관 개선으로 예방해야

전립선 비대증의 대표적인 진단 방법은 항문에 손가락을 넣어 직접 전립선을 만져보면서 진단하는 ‘직장 수지 검사’와 항문으로 초음파 탐침을 삽입해 전립선을 관찰하는 ‘경직장 초음파 검사’다.

전립선 비대증 치료는 환자의 배뇨장애 정도, 감염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실시한다. 초기라면 일정 기간 경과를 관찰하며 좌욕, 수분 섭취량의 조절 등으로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인천힘찬종합병원 비뇨의학과 이장희 과장은 “전립선 비대증은 소변을 보려고 하면 소변이 나오는 데까지 시간이 걸리고, 총배뇨 시간이 길어지는 하부요로폐색 증상이 나타난다”며 “배뇨 간격이 짧아지고, 밤에 소변이 마려워서 깨어나는 증상, 소변을 다 본 뒤에도 잔뇨감이 드는 증상이 있다면 의심해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이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 경우 소변을 보는 속도인 요속과 잔뇨량을 개선하고 전립선 크기를 줄여주는 방법으로 약물 치료를 한다”고 덧붙였다.

만약 약물치료를 해도 호전되지 않는 경우, 내시경을 활용한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다. 특히 소변을 보지 못하는 요폐가 발생하거나 이로 인해 반복적인 요로감염이나 혈뇨가 관찰되는 경우, 방광 결석이 발생하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한다.

전립선 비대증은 노화 외에도 생활 속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젊은 층 남성들도 평소 경각심을 가지고 미리 대비해야 한다. 전립선 건강을 위해서는 육류보다는 식이섬유가 풍부한 과일과 채소를 많이 섭취하는 것이 좋다.

과도한 음주는 방광을 자극하고 전립선을 수축해 배뇨를 더욱 힘들게 할 수 있어 삼가야 한다. 특히 오줌을 오래 참거나 잠들기 직전 물을 마시는 습관 등은 피해야 한다.

증상 완화에는 원활한 혈액순환과 근육 이완을 돕는 좌욕이 좋다. 또한 요즘 같은 겨울철에는 내복과 방한 장구 등을 착용해 몸을 따뜻하게 유지해야 한다.

color@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