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그룹(회장 박정원) 임원진, 수십억에 달하는 보수 챙겨

직원 평균 연봉과 경영진 최고액 수령자의 연봉 간 격차 전년보다 커져

[스포츠서울 | 최규리 기자] 최근 주요 대기업에서 직원 연봉동결·성과급 미지급 등으로 노사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임원 보수는 대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 경기 침체 장기화에도 불구 기업 임원 보수는 매년 증가 중이다.

21일 재벌닷컴이 임원 보수 총액이 포함된 2023회계연도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000억원이 넘는 적자(별도 기준)를 낸 회사에서 10억원이 넘는 보수를 받은 오너 및 전문경영인은 28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두산그룹(회장 박정원)이 수십억에 달하는 보수를 챙겨 눈길을 끌고 있다. 박지원 두산그룹 부회장은 대표로 재직 중인 두산에너빌리티가 지난해 1042억원의 적자를 냈음에도 25억80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앞서 박 부회장은 2022년 적자가 1조2000억원에 달했을 때도 급여와 상여금을 합해 31억700만원을 수령했다. 박 부회장은 지난해 1000억원대 적자를 낸 두산의 미등기 임원으로 재직하면서 29억1400만원을 받아 두 적자기업에서 받은 보수만 총 54억9400만원에 달한다.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은 당기순이익이 흑자에서 적자로 전환했는데도 보수 총액이 늘었다. 보수총액은 2022년 64억8100만원에서 84억2900만원으로 30% 넘게 올랐는데, 이 기간 두산의 당기순이익은 1755억원 흑자에서 1119억원 적자로 전환했다.

SK그룹(회장 최태원)도 수십억대 보수를 챙겼다. 손재승 SK스퀘어 부사장의 경우 회사 순이익이 2022년 4000억원대 흑자에서 지난해 3000억원대 적자로 전환했음에도 지난해 보수 총액이 25억600만원으로 2022년(8억7600만원) 대비 3배 가까이 크게 늘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지난해 4조원대 적자를 낸 SK하이닉스에서 미등기 임원으로서 25억원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화(회장 김승연) 계열사 김동관 한화솔루션 대표는 3000억원대 적자를 기록하고도 30억8300만원을 받아 눈길을 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1300억원대 적자를 낸 호텔롯데 미등기 임원으로서 21억2000만원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신 회장은 지난 2022년 1위였던 CJ 이재현 회장을 꺾고 올해 연봉 212억으로 총수 연봉 1위에 올라서기도 했다.

◇ 임원·직원 평균 연봉 격차 점점 커지네

이처럼 임원 연봉·보수는 점점 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주요 대기업의 직원 평균 연봉과 경영진 중 최고액 수령자의 연봉 간 격차가 전년보다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매출 상위 국내 500대 기업 중 최근까지 사업보고서를 제출하고 5억원 이상 연봉 수령자를 공개한 291개사의 최고경영자 연봉과 미등기임원 평균 보수, 직원 평균 보수를 분석했다. 최고경영자 보수에서 퇴직금 수령자는 제외하고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권)은 포함했다. 직원 평균 급여에서는 미등기임원 보수를 제외한 직원 실질 연봉을 적용했다.

이 결과 이들 기업의 경영진 중 최고 연봉자 보수 평균은 20억9588만원으로 전년(20억3608만원) 대비 2.9% 증가한 반면, 직원 평균 연봉은 8713만원으로 전년(8965만원)보다 2.8%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최고 연봉자 대비 직원 연봉 간 평균 격차는 전년 22.7배에서 지난해 24.1배로 커졌다. 지난해 최고 연봉자와 직원 평균 보수 간 격차가 가장 컸던 기업은 카카오로, 남궁훈 전 대표가 스톡옵션 행사 이익(94억3200만원)을 포함해 총 98억9900만원을 수령했다. 반면 직원들은 평균 9978만원을 받아 98배의 격차를 기록했다.

이어 이마트(77.1배), 현대자동차(70.1배), 하이트진로(68배), 엔씨소프트(67.7배), 삼성바이오로직스(66.9배) 등이 최고 연봉자와 직원 평균 연봉 간 격차 배율이 큰 쪽에 속했다.

◇ 언제까지 임원들만 ‘돈 잔치’

일각에서는 기업 임원 고보수 정책에 비난을 쏟아낸다. 일반 직원들이 사측을 향해 임금 인상률, 휴가제도 등 근무 개선을 요구해도 불확실성이 지속되지만, 임원진은 수천억 연봉·성과급 잔치를 벌인다는 것이다.

최근 삼성전자 노조 중 최대 규모인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은 올해 1월부터 교섭을 이어왔으나 임금인상률과 휴가제도 등을 놓고 입장차를 좁히지 못해 결국 지난달 18일 교섭이 결렬되자, 창사 이래 첫 노조 단체활동을 이어갔다. 실제 전삼노 조합원수는 석 달 동안 세배 넘게 급증하기도 했다.

재계 관계자는 “일반 직원들에게만 고통 분담을 강요하고 있는 셈이다”며 “글로벌 악재에도 이 같은 임원 성과급 잔치는 비판받을만하다. 임원의 성과급을 줄이고, 일반 직원들 근무 개선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gyuri@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