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서울 | 황철훈 기자] 소변을 볼 때 피가 섞여 나오는 혈뇨현상은 대표적인 건강 적신호다. 특히 통증없는 혈뇨에 종괴까지 만져진다면 방광암을 의심해봐야 한다.

60~70대에 주로 발생하는 방광암은 여성보다는 남성의 발병 위험도가 3~4배 높다. 특히 흡연자의 경우 비흡연자에 비해 방광암 발병 위험도가 2~7배 높다. 담배의 발암물질이 폐를 통해 몸에 흡수된 뒤 신장에서 걸러져 소변에 포함되는데, 방광이 소변 속 발암물질에 장시간 노출되면 변성이 생겨 암 발생 위험을 높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혈뇨 등의 이상 증상이 발견되면 즉시 병원을 찾아 소변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또 방광암이 의심될 경우 방광경(내시경) 검사를 하며, 이후 컴퓨터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법(MRI) 등을 통해 다른 장기로의 전이 혹은 임파선 전이 등을 확인해야 한다.

방광암은 60~70% 정도가 초기 또는 1기에 진단된다. 이때는 내시경 방광 종양 절제술을 통해 검사 및 치료를 진행한다. 암이 점막이나 점막하층에만 나타나는 비근침윤성(표재성) 방광암일 경우 보통 개복수술 보다는 경요도 절제술(내시경)을 시행하게 된다.

병기와 조직학적 특징에 따라 다르지만 초기 방광암 환자라도 절반 이상 방광 내 재발을 한다. 고위험군 환자의 경우 10~30% 정도는 근침윤성 방광암인 2기로 진행될 수 있어 재발을 막기 위해 방광 내에 약물을 주입하는 경우가 많다. 사용하는 약물은 무독화된 결핵균을 이용한 면역치료제(BCG)가 가장 대표적이다. 그밖에 이용할 수 있는 약제로 마이토마이신-C(Mitomycin-C), 젬시타빈 (gemcitabine) 등이 있다.

2기 이상의 방광암은 진행성 암으로, 근침윤성 방광암이다. 주변 장기로 전이는 없지만 뿌리가 깊은 2~3기 침윤성 방광암의 경우 대부분 개복 후 로봇 근치적 방광 절제술, 인공 방광 조형술 등을 실시한다. 근침윤성 방광암 환자라도 방광을 보존할 수 있다. 이때는 경요도 내시경 하 방광종양절제술, 방사선 치료, 항암치료 등을 병행하기도 한다. 2기 이상의 침윤성 방광암은 공격성이 매우 높아 2년 이내에 제대로 된 치료를 하지 않으면 사망률이 급격히 높아진다. 방광암이 다른 장기로 전이한 4기의 경우 환자에 따라 다르지만 항암치료 그리고 필요에 따라 수술까지 모두 받아야 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고려대 안산병원 비뇨의학과 태범식 교수는 “근치적 방광 절제술을 시행하는 데는 총 3단계에 걸쳐 3~4시간에서 길게는 5~6시간 정도 걸리는데, 비뇨기계 수술 중에서 가장 어려운 수술로 꼽힌다”며 “먼저, 방광을 절제하고 필요한 경우 남자는 전립선을, 여자는 자궁을 함께 절제한다. 이어서 임파선을 절제하고 마지막 단계는 요로전환술로, 방광을 절제한 환자 소장의 일부를 잘라 인공 방광을 만드는 수술”이라고 설명했다.

수술 후 방광암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금연은 물론 간접흡연과 암을 유발할 수 있는 독성 화학 물질에 대한 노출을 피해야 한다. 또한 물을 충분히 마시고 균형 잡힌 식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적절한 운동과 정기적인 검사도 잊지 말아야 한다. color@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