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서울 | 배우근 기자] 최근 영화 ‘파묘’에 대한 중국 누리꾼들의 억지 조롱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중국의 불법시청이 또 시작됐다고 직격했다.

서 교수는 “중국 내에서는 한국 콘텐츠에 대한 ‘불법 유통’이 이제는 일상이 된 상황이다. 하지만 어떠한 부끄러움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 더 기가막힐 따름이다. 중국의 일부 누리꾼들은 열등감에 사로잡혀 엑스(트위터), 웨이보 등 자신의 SNS 계정을 통해 근거없는 비난을 펼치고만 있다”고 지적했다.

K콘텐츠의 불법유통을 막기 위해선 우선 발원지인 중국 당국이 나서야 한다.

중국은 지난 베이징 동계 올림픽 당시 올림픽 마스코트 ‘빙둔둔’에 관한 지적재산권 보호 및 불법 유통을 엄격한 단속한 바 있다. 다시 말해 지금까지 불법 유통되는 K콘텐츠 사태는, 중국 당국이 ‘도둑시청’을 눈감아 왔다고 보는게 합당맞다. 불법 유통 근절을 위해 적극 나서지 않고 있다는 것.

이에 서 교수는 “이제부터라도 중국 당국은 다른 나라 문화를 먼저 존중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반드시 행동으로 보여줘야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리나라 역시, 좋은 콘텐츠 생산과 더불어, 해당 콘텐츠가 전세계에서 보호받을 시스템을 강력하게 구축해야 한다. 보호망이 허술하면 그만큼 미디어 산업계는 위축되고, 재생산 역시 축소된다. 산업계 악순환 고리의 발생이다.

지난해 한국저작권보호원이 발표한 ‘해외 한류콘텐츠 침해 실태조사’에 따르면, 해외한류콘텐츠 불법유통량은 4억7700만개에 달한다. 이는 전체 K콘텐츠 유통량의 15%에 이른다.

특히 신규 콘텐츠가 1/4 정도를 차지하기에 관련업계 피해는 막대하다. 수치로 따지면 연간 30조원 가량이 불법 유통으로 사라진다고 알려져 있다. 올해 K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수록 불법유통량 또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도 그 심각성은 인지하고 있다. 지난 13일 한덕수 총리 주재로 미디어·콘텐츠산업융합발전 위원회가 열렸다. 전체회의후 미디어·콘텐츠 산업융합 발전방안을 확정, 발표했다. 위원회는 고부가가치 산업인 한류 미디어·콘텐츠 산업을 새 성장엔진으로 삼고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하고자 발전방안을 마련했다.

그러나 현실적 대응을 위해, 정부의 실체적 노력이 더 요구된다. 불법 유통에 대한 근절은 선순환 콘텐츠 유통 생태계를 위해 필수 조건이다. 불법 유통은 국익 보호 및 창작자, 관련업계 종사자의 정당한 보상과 산업발전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소이기 때문이다.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