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중심 로봇’ 패러다임 제시…오픈 플랫폼으로 로봇 사업 시너지 창출

[스포츠서울 | 표권향 기자] LG전자가 전략적 투자를 통해 미래 신사업 중 하나로 육성 중인 배송, 물류 등 상업용 로봇 사업의 역량 고도화를 강화한다.

LG전자는 미국 실리콘밸리 레드우드시티에 본사를 둔 인공지능(AI) 기반 자율주행 서비스로봇 스타트업 베어로보틱스에 6000만 달러(한화 800억원 규모)를 투자하고, 회사 지분을 취득하는 신주인수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지분투자는 단기 수익을 추구하는 재무적 투자가 아닌 사업 포트폴리오 고도화 관점에서 진행하는 전략적 투자의 일환이다. 주식매매거래가 종결되면, LG전자는 단일주주 기준 베어로보틱스의 최대지분 보유자가 된다.

베어로보틱스는 2017년 설립됐으며, 구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테크 리드 출신 하정우 대표가 이끌고 있다. AI 기반 자율주행 실내 배송 로봇을 앞세워 국내는 물론 미국, 일본 등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공동 창업자인 CTO(최고기술책임자)를 비롯해 구글 등 빅테크 출신 엔지니어를 다수 보유하고 있다. 오픈 플랫폼 기반 로봇 개발 역량은 글로벌 리더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상업용 로봇 소프트웨어의 플랫폼화 △다수 로봇을 제어하는 군집 제어 기술 △클라우드 기반 관제 솔루션 분야 등에서 역량을 펼치고 있다.

조주완 CEO(최고경영자)는 ‘CES 2024’ 기자간담회에서 “LG전자의 상업용 로봇 사업은 주로 배송과 물류 등 서비스 영역에 집중하고 있으며, 지분투자나 인수합병(M&A) 가능성을 열어두고 발전 방향을 주의 깊게 보고 있다”라고 밝힌 바 있다.

◇ 소프트웨어 중심 로봇 전환…AI 기반 자율주향 로봇 플랫폼 표준화 전망

LG전자는 상업용 로봇의 패러다임이 AI 기반 소프트웨어 중심 로봇(SDR)으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했다. 향후 상업용 로봇 시장이 본격 개화할 경우 다양한 공간에서 다수 로봇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개방형 구조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반 서비스 로봇의 확장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판단했다. 이를 위해 AI 기반 자율주행 로봇 플랫폼의 표준화가 중요해질 것이라는 내다봤다.

LG전자는 다년간의 로봇 사업을 통해 공항·호텔·레스토랑·병원·매장·박물관·스마트 물류창고·골프장 등 다양한 상업 공간에서 로봇 솔루션 노하우를 쌓아왔다. 경북 구미 LG 퓨쳐파크에는 상업용 로봇 자체 생산시설을 갖춰 세계적 수준의 품질관리, 공급망, 서비스 등의 역량을 확보했다.

이와 함께 베어로보틱스가 보유한 글로벌 R&D 인프라 및 소프트웨어 플랫폼 역량과 함께 로봇 플랫폼 표준화를 주도하고, 시장진입 비용을 혁신적으로 낮출 수 있어 사업 효율과 시너지 극대화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인다.

앞서 하정우 베어로보틱스 대표는 “안드로이드가 스마트폰 시대를 연 것처럼, 로봇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표준화된 오픈 플랫폼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 상업용 로봇 사업 육성 가속도…‘7·7·7’ 달성 목표

LG전자는 지난 수 년간 시장 현황과 사업모델의 전략적 가치를 고려해 휴대폰, 태양광 등 한계 사업을 과감히 종료하는 대신 미래 고성장 영역에 자원을 집중해 왔다. 이번 지분투자도 신사업으로 육성 중인 상업용 로봇 사업의 조기 전력화 및 육성을 가속화하는 차원이다.

LG전자는 로봇을 미래사업 육성을 위해 지난 2017년 인천국제공항 안내로봇 서비스를 시작으로 배송, 방역 등 다양한 상업 공간에 최적화 솔루션을 선보여 왔다. 지난해부터는 미국, 일본, 동남아 등으로 본격 해외 시장 공략에 나섰다.

서비스 로봇 시장은 AI, 통신 등 관련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저출산, 고령화 등 생산활동 인구 감소가 이어져 성장 속도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글로벌 서비스 로봇 시장은 지난 2021년 362억 달러(한화 48조원 규모)에서 오는 2026년 1033억 달러(한화 137조원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LG전자는 집·모빌리티·커머셜·가상공간 등 고객의 다양한 공간과 경험을 연결·확장하는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미래비전을 발표한 바 있다. 이를 통해 2030년 매출 100조원, ‘7·7·7(CAGR·영업이익률 7%, 기업가치(EV·EBITDA 멀티플) 7배)’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

LG전자 이삼수 CSO(최고전략책임자)는 “이번 지분투자는 서비스 로봇 시장이 본격 성장기에 접어들 전망인 가운데, 사업의 ‘이기는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라며 “중·장기 관점에서는 임바디드 AI(시각·언어·행동모델 기반 신체를 가진 AI)나 로봇 매니퓰레이션 고도화 등 차별화 기술 영역과 접목하여 다양한 기회를 탐색하며 로봇 사업을 미래 성장엔진으로 만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gioia@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