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통한 신약개발 기간·비용 단축 방안 주목…국내 의료데이터·기술 인프라 우수대학·병원·기관·벤처·제약사 참여…정부 ‘바이오헬스산업 혁신 전략’ 일환
복지부1
세종시 보건복지부 전경. 사진|이정수 기자 leejs@sportsseoul.com

[스포츠서울 이정수 기자] 정부가 인공지능이 활용된 신약개발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향후 3년간 258억원을 투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에 착수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후보물질 발굴, 신약 재창출, 스마트 약물감시 등을 우선으로 신약개발 단계에 따라 맞춤형 인공지능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의약품 시장 조사기관 아이엠헬스에 따르면 의약품 분야는 1200조원에 이르는 거대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블록버스터 신약의 경우 연 매출 1조원 이상을 창출할 수 있는 유망 분야다. 세계 1위 의약품인 미국 제약사 애브비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 ‘휴미라’는 연매출이 18조원에 이른다.

이처럼 거대 시장이 형성돼있지만 글로벌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선 1조원 이상의 연구개발(R&D) 비용과 15년 이상에 달하는 기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때문에 비교적 업체 규모가 작은 국내 제약사에게는 진입장벽이 높았다.

그러나 최근 진입장벽을 극복할 수 있는 전략 중 하나로 인공지능을 활용해 신약개발에 소요도는 비용과 시간을 단축하는 방안이 대두됐다.

국내는 R&D를 통해 축적된 연구데이터와 병원 진료정보 등 우수한 의료데이터를 다량 보유하고 있고, 우수한 정보통신기술(IT)을 갖췄다. 정부는 이를 인공지능 신약개발에 활용하면 국가 신약개발 역량이 한 단계 도약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초기 신약개발에 인공지능 도입 위해 6개 과제 추진…연구기간 절반 단축 기대

이번 사업은 지난달 정부가 발표한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 후속 조치다. 정부는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과 R&D 4조원 규모 확대를 목표로 한 혁신전략을 통해 5대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 빅데이터에는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데이터 중심병원 ▲신약 후보물질 빅데이터 ▲바이오특허 빅데이터 ▲공공기관 빅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이번 사업은 이 중 ‘신약 후보물질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정부는 총 6개 연구과제를 구상했다.

우선 ‘신약 후보물질 발굴’을 위한 인공지능 플랫폼 개발을 위해 주식회사 아론티어, 중앙대학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화여자대학교 등 4개 팀이 연구를 수행한다.

아론티어는 폐암·뇌암 치료제, 중앙대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대구경북첨복재단은 표적항암제, 이화여대는 항암제와 섬유화 치료제 분야 신약후보물질 발굴 플랫폼을 구축한다.

이미 개발된 의약품을 활용한 신약개발 방법인 ‘신약 재창출’을 위한 연구도 진행된다. 재창출된 신약은 연구 자료가 갖춰져 있어 비교적 필요한 임상연구 기간이 짧고 비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한국과학기술원 연구팀이 맡아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고, 실험 검증 등을 통해 플랫폼을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스마트 약물감시를 위한 인공지능 플랫폼 구축은 서울아산병원이 맡는다. 면역항암제 빅데이터를 집중 학습하는 방식으로 약물 이상반응 조기 예측과 신속 대처를 위한 약물 감시 지원 시스템을 구축해나갈 예정이다.

총 6개 연구과제 지원·관리, 플랫폼 공유, 민간 공개 시스템 구축 등은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 담당한다.

정부는 본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개발된 플랫폼을 연구자·기업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하고, 사업 종료 후에도 연구기관이 소유권을 보유해 플랫폼이 계속 최신화될 수 있도록 조치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국내 신약개발 기간을 최대 절반(7~8년)까지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고서곤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향후 몇 년이 신약개발 분야 도약 시기가 될 것”이라며 “신약개발과 인공지능 융합을 적극 지원해 바이오헬스 분야 성공사례를 만들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leejs@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