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4
케이뱅크. 권오철 기자 konplahs@sportsseoul.com

[스포츠서울 권오철 기자] 장기적 자금난에 허덕이고 있는 케이뱅크가 최근 ‘제휴처 확대’라는 명목으로 암호화폐(가산자산) 거래소 업비트와 손잡고 신규 원화 입출금 실명계좌 개설 서비스를 개시했다. 이를 두고 케이뱅크가 암호화폐 업계의 고질적인 문제로 꼽히는 보이스피싱 및 해킹 위험에 노출된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케이뱅크가 찾은 ‘돌파구’가 ‘악수’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본지가 확인한 바에 따르면 주요 시중은행들은 2일 현재 가상자산 거래소에 대한 신규 계좌 서비스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 복수의 은행 관계자들은 “가상자산과 관련한 논의는 전무한 상황”이라고 입을 모았다. 앞서 이들 은행사들은 금융위원회가 2018년 1월 가상통화 거래 실명제를 실시한 이후 거래소 이용 목적의 신규 계좌발급을 일체 중단했다. 당시 가상화폐가 투기 및 자금세탁 등의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면서 정부의 비판적 기조가 이어지자 관련 서비스와 거리를 둔 것이다. 실명확인 입출금계정 서비스에 참여했던 은행도 신한, 농협, 기업은행 등 3곳 뿐이다.

이 같은 상황이 2년 반 동안 유지됐으나 케이뱅크가 지난달 23일부터 기업은행을 대신해 업비트의 신규 원화 입출금 실명계좌 개설 서비스를 개시했다. 케이뱅크는 “제휴처 확대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가상통화에 대한 타 은행들의 부정적 시각은 여전했다. 업비트와 거래를 중단한 기업은행 측은 국책은행으로서 부담이었던 가상화폐 관련 서비스를 털어냈다는 입장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은행들이 가상화폐 서비스를 꺼리는 이유에 대해 ‘보이스피싱·해킹에 얽힐 가능성’을 꼽았다. 그간 보이스피싱을 통한 가상화폐 거래소 내 사기가 빈번했고 보이스피싱을 통해 탈취한 현금이 가상화폐 계좌를 통해 세탁되는 사례가 속출했기 때문이다. 2017년부터 국내 주요 거래소에서 발생한 해킹 피해액은 2000억원대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케이뱅크와 손잡은 업비트는 지난해 11월 580억원 규모의 해킹 피해를 입기도 했다. 당시 업비트의 피해 금액은 회사 자산이었으나 고객 계좌에 대한 해킹에 대한 가능성이 늘 존재한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의 전언이다.

케이뱅크 이 같은 위험성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 케이뱅크 관계자는 “케이뱅크는 업비트와 보이스피싱 등 관련 공동대응 핫라인이 구축돼 있어 상황 발생 시 즉각 대응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업비트 측은 “보이스피싱이 업계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이슈인 것은 맞다. 계정을 빌려준다든지 사기코인에 속아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전자통신금융사기에 대해 금융기관을 통해 피해금 환급을 받지 못할 경우 자사가 일부 환급해주는 정책을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또한 이상 입·출금으로 판단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은행과 협의해 입·출금 정지를 걸어놓는 경우도 있다. 지난해 해킹 이슈 이후 보안성을 한층 강화했다”고 말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케이뱅크는 자금 뿐만 아니라 고객유치 등 모든 면에서 뒤처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타 은행이 하지 않는 새로운 분야에서 돌파구를 찾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가상통화서비스에 손을 댄 것은 보이스피싱 등의 리스크가 높아 악수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konplash@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