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국내 급성심근경색 환자의 진단 및 치료방법 남녀 차이. 사진|고려대의료원

[스포츠서울 | 홍성효기자] 고려대 안암병원 순환기내과 박성미 교수팀이 급성심근경색에서 진단부터 치료까지의 국내 남녀 환자 간의 차이를 규명했다.

23일 고려대 안암병원 순환기내과 박성미 교수팀은 새롭게 급성심근경색(newly diagnosed AMI)으로 진단받고 입원한 환자들의 진단, 치료 및 임상적 결과에 대한 남녀 차이를 분석하고 진단과 치료에서의 남녀의 차이를 규명했다. 박성미 교수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데이터를 이용해 2003년부터 2018년까지 급성심근경색으로 진단받은 63만3000여명의 환자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환자들의 진단시행과 중재시술적용, 약물치료 등에서의 남녀간 차이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급성심근경색으로 진단된 환자들의 성별에 따른 진단처방에 큰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범위의 전 기간 동안 남성의 경우 약 63.2%에서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했으나 여성의 경우에는 약 39.8%에서만 관상동맥조영술이 시행된 것이다. 특히 남성환자에서의 관상동맥조영술시행은 2003년 44.6%, 2018년 73.6%로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나, 여성환자에서는 2003년 30.7%, 2018년 45.7%로 비교적 낮은 증가세를 보이며 남녀간 격차가 점차 커지고 있다.

검사 뿐 아니라 치료에서도 성별의 차이가 컸다. 2018년 기준으로 스텐트시술을 포함한 관상동맥중재시술은 남성에서는 85.8%에서 시행했으나 여성에서는 77.5%에서 시행됐다. 퇴원 시 약물치료를 받은 비율도 스타틴의 경우 남성 87.2%, 여성 79.8%, 베타차단제의 경우 남성 69.6%, 여성 62.6%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나이와 동반질환여부 등의 다른 요소들을 배제하더라도 급성심근경색의 진단 및 치료에 있어 남녀 차가 크며 이 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박성미 교수는 “심장질환은 우리나라 남녀 모두에서 주된 사망원인 2위이며 여성에서는 단일 신체기관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 치명적인 급성심근경색에 대한 적극적인 진단과 치료가 여성에서 유의하게 낮았다는 점은 국가 의료정책적인 면에서도 깊게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고령과 젊은 연령의 여성환자에서 급성심근경색의 예후가 좋지 않다. 전형적인 증상으로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흔한데 일반적인 심혈관계 위험 동반질환들은 남성환자들보다 더 많다. 또 여성특이 위험인자들을 가지고 있는 경우들이 있으므로 환자뿐만 아니라 의료진들의 인지도와 관심이 크게 요구된다”고 말했다.

shhong0820@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