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팬과 함께 연승을 함께 할 수 없는 사직구장
무관중 경기로 인해 텅 빈 사직구장. 박진업기자 upandup@sportsseoul.com

[스포츠서울 장강훈기자] KBO리그 10개구단이 수익처를 찾지 못해 시름에 빠졌다. 우여곡절 끝에 정규시즌 개막은 했지만 무관중 경기가 이어지다 보니 입장수익이 ‘0’이다. 구장에 관중이 들어오지 않으니 굿즈 등 상품 판매도 원활치 않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전세계 대유행(팬데믹) 탓에 모기업도 허리띠를 졸라 매니 그룹 지원금으로 버텨야 하는 구단 입장은 좌불안석 그 자체다.

그래서 일부 구단에서 “한국야구위원회(KBO)가 적립해둔 야구발전기금을 재난극복 지원금 명목으로 각 구단에 배분할 수 없느냐”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KBO 이사회(사장회의)에서도 질의가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SK 염경엽 감독은 정규시즌 개막 일정을 확정했을 때 구단 수익 저하를 예상하며 “KBO가 야구발전기금을 활용해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는 개인 의견을 냈다. 구단 단장을 역임한 터라 염 감독의 발언은 ‘야구발전기금을 구단 구제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겠다’는 것으로 와전됐다.

[포토] 정운찬 총재, 개막 일정을 신중하게 이야기해 봅시다...
정운찬 총재 등 한국야구위원회와 프로야구 10개 구단 사장들이 이사회를 하고 있다. 김도훈기자 dica@sportsseoul.com

KBO 류대환 사무총장은 “코로나19 사태로 각 구단이 어려움에 처한 것은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그러나 KBO가 적립한 야구발전기금을 구단에 지원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사단법인이 적립한 기금은 법으로 정한 용도 외에는 사용할 수 없다. 더군다나 야구발전기금은 20년 이상 창단팀 등이 서로 다른 액수로 기부했고, 야구 저변확대와 보급 등에 사용하도록 조성한 것이라 구단이 나눠 가질 명분이 약하다. 야구발전기금을 대출 받더라도 이자율이 매우 높아 현실적이지 않은 방법이라는 지적도 있다. 류 사무총장은 “구단 수익 악화를 안타까운 심정으로 바로보고 있다. KBO에서도 신규사업 확대 등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 여러각도로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사실상 방법이 없다는 뜻이다.

구단이 재정 악화로 파산위기에 내몰리면 긴급 자금 지원 형태로 전용할 수는 있다. IMF시절인 1998년 재정난에 허덕여 선수단 급여를 지급하지 못하던 쌍방울에 기금 20억원을 지원했고, 2007년 현대 파산 위기 때 운영자금 130억원 가량을 KBO가 보증을 서서 대출해준적은 있다. 코로나19로 재정이 악화됐다고는 하나 올해는 구단이 파산할 정도는 아니다. 그렇다고 강도높은 구조조정이나 선수단 연봉삭감 등을 단행하고 있지도 않다. KIA 등 일부 구단은 임직원 급여 삭감 등 자구책을 시행 중이지만, 긴축재정을 선수들이 피부로 느낄 정도는 아니다.

[포토]개막 앞둔 KBO리그
야구회관 입구에 KBO리그 로고와 각 팀의 이름이 걸려 있다. 박진업기자 upandup@sportsseoul.com

수도권 구단의 한 고위 관계자는 “모든 기업이 마찬가지이겠지만, 재정이 약화되면 가장 먼저 인적 개선부터 시작한다. 이미 몇몇 구단은 선수단 전체 연봉을 30% 가량 감액할 계획을 세운 곳도 있다”고 귀띔했다. 연봉 감액을 선수단 규모 축소로 단행할 여지도 남아있어 시즌이 끝난 뒤부터가 진짜 전쟁이라는 얘기까지 나온다.

한 야구 관계자는 “구단 입장에서는 모기업의 지원을 받아 운영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 코로나19로 세계 경제 위기 속에 손을 벌리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쉽고 빠르게 손을 내밀 수 있는 곳이 KBO이고, 여기에 야구발전기금 명목으로 수 백억원이 적립 돼 있으니 군침을 흘릴 수밖에 없을 것이다”라고 현 상황을 진단했다. 그렇지만 기금사용에 대해서는 반대 입장을 명확히 했다. 이 야구 관계자는 “기금에 손을 대는 것보다 각 구단이 스스로 자구책을 마련해 위기를 타개할 방법을 찾는 게 먼저다. 구단이 수익 창출을 위해 규약이나 규정 개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실행위원회(단장회의)와 이사회를 통해 추진하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zzang@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