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귀신 구미호
토종귀신 구미호. 1994년 고소영이 비운의 여우로 분해 열연했다. 스포츠서울DB

[스포츠서울 이우석기자] 핼러윈의 계절, 벌써부터 곳곳에 공포의 세계가 열렸다. 어라? 그런데 죄다 좀비(Zombie) 일색이다. 에버랜드도 롯데월드도 모두 좀비가 득시글하다, 지난해 극장가를 강타한 ‘부산행’도 좀비고 부산영화박물관에도 VR영화에 좀비가 등장한다.그 많던 토종 귀신들은 대체 어디갔을까. 무섭기보다 이젠 잊혀질까 서러운 대한민국 토종 귀신들을 꼽아봤다.●구미호=

대한민국 대표 귀신이다. 꼬리가 아홉개 달린 여우가 진짜 사람(여인)으로 환생하기 위해, 사람을 해쳐 간(肝)을 내어먹는다는 아주 무서운 캐릭터다. 간 100개를 먹어야 인간이 된다는 산신령의 말을 철석같이 믿고 행인을 꾀어내 손톱과 이빨로 죽인 후 피범벅이 된 입으로 간을 먹는다.(눈은 좋겠다)

밤낮없이 근무하는 좀비와는 달리 야근만 주로하며 낮엔 숨어지내거나 사람으로 변신해 있다. 수도 없이 뒤로 넘는 덤블링을 보면 대한민국 리듬체조의 시원(始原)임에 분명하다. 장동건의 부인이 된 고소영과 정우성이 한국 최초의 몰핑(형상변화 특수효과) ‘구미호(1994년 작)’에서 만나 열연한 바 있다. 고소영은 여우 ‘하라’로 열연했지만 안타깝게도 그해 대부분의 영화제 여우주연상은 모두 다른 이들에게 내주었다.

토종귀신 내다리내놔
토종귀신 내다리내놔 귀신. 이광기는 ‘전설의 고향’에서 가장 인상깊은 연기를 펼쳤다.

●‘내 다리 내놔’ 귀신=

사체가 살아 움직인다는 점에선 좀비와 비슷하지만 말을 한다는 점에서 크게 다르다. 과거 TV공포물 ‘전설의 고향’에서 잃어버린 다리를 찾아 강한 집착을 보이는 시체(이광기 분)로 유명해졌다. 덕대골에 남은 설화 속 남성 귀신 캐릭터다. 스토리는 대강 그렇다. 죽은 지 얼마 안돼 묘 안에 얌전히 누워있는데 누군가 사람을 살리는 약으로 쓰려고 자신의 다리를 잘라갔다. 너무도 억울한 나머지 자신의 다리를 잘라간 여인을 찾아 ‘깨금발’로 뛰어다니며 끊임없이 구천을 헤메인다. 알고보니 귀신의 정체는 산삼이었다는 것. 항산화제가 가득한 몸에 좋은 귀신이다.

토종귀신 도깨비
한국과 일본에 모두 있는 토종귀신 도깨비. 논산 관촉사 윤장대에 남아있다. 출처 | 두산백과사전

●도깨비=

드라마의 인기로 이젠 친근하게 다가와 그리 무섭지 않게 느껴지지만, 삼국유사부터 오랜 설화 속 기나긴 역사를 지닌 토종 귀신 계의 시조새다. 여러 종류의 도깨비가 있어 인상착의는 각각 다양하다. 일단 덩치가 크고 얼굴이 붉은데다 뿔이 나서(뿔난 도깨비는 왜색이라고 한다), 인상 만으로도 50점 이상 먹고 들어간다. 손톱이나 날카로운 이빨로 물어뜯는 귀신이 아니라 도구(방망이)를 쓰고 마술을 부릴 줄 안다. 못쓰는 몽당 빗자루에 사람의 피가 떨어지면 그것이 변해 도깨비가 된다고 한다. 다리가 하나란 말이 있는데 아마 빗자루 때문일 것이다.

KakaoTalk_20170918_164503212
눈이 쾡하니 아무것도 없는 상태로 자동차전용도로인 자유로에 서있다는 자유로 귀신. MBC서프라이즈에서 다룰 정도로 목격자가 많았지만 지금은 제2자유로로 이동했는지 보았다는 이들이 없다.

●자유로 귀신=

일산 신도시 개발 이후 등장한 신세대 귀신이다. 2004~2006년 쯤 야간에 고속으로 달리는 ‘한국의 아우토반’ 자유로에서 목격자가 빈번하게 나타났다. 그 위험한 도로에서 히치하이킹을 시도하는 등 무모하고 트렌치코트를 즐겨입는 등 패션에 민감한 20대 여성 귀신이다. 갸날픈 몸매지만 정작 얼굴에 눈이 없고 뻥 뚫려있어 마스카라를 할 수 없는 가엾은 캐릭터다. 최근에는 목격사례가 크게 줄어드는 등 인기가 예전만 못하다. 상습적으로 자동차 전용도로 노변에 서있다 단속되었다는 설이 있다.

토종귀신 홍콩할매귀신
토종귀신 홍콩할매귀신은 당시 뉴스에 등장할 정도로 큰 존재감을 과시했다.

●홍콩할매귀신=

홍콩 할매귀신이지만 정작 활동은 주로 한국에서 했다.(옷도 한복을 입고 다녔다). 1980년대 귀화한 다문화 귀신이다. 당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싸늘한 공포를 안겨주었다. 얼마나 기세가 좋았던지 MBC 뉴스데스크까지 등장했을 정도다.

고양이를 반려동물로 키우던 할머니가 홍콩으로 여행을 갔다. 그런데 그 비행기가 추락하게 되고(이 정도 팩트체크만 해도 뻥인게 드러난다) 몰래 수하물 속에 넣어뒀던 고양이와 할머니의 혼이 합쳐지며 홍콩할매귀신이 된다. 아이들을 공격하며 손톱과 발톱에 집착하는 ‘네일 패티시’ 성향을 가지고 있다.

무제-1
일본 공포영화 링에서 브라운관을 기어나오는 등 깊은 인상을 남겼던 사다코. 하지만 벽면 부착형 LED-TV의 유행으로 지금은 다른 외부 활동 만 근근히 이어가고 있다.

●그외의 인접국 귀신=

긴 생머리와 흰 원피스 등 청순 캐릭터인 사다코. 일본 영화 ‘링’에서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꺼진 TV 수상기에서 엉금엉금 기어나와 사람을 해친다. 지금은 벽면 부착식 TV의 유행으로 활동기회가 많이 제한되는 바람에 좀비에 극강의 공포 캐릭터 자리를 내주었다.

무제-1
좀비의 원조 격인 중국 강시. 영화 귀타귀(1980년) 중에서.

좀비의 원조 격인 중국 전설 속 강시(人변에 畺 尸). 한이 맺힌 사체가 썩지 않고 대지의 기운을 받아 마치 살아있는 듯 움직이게 된 것을 강시라고 한다. 힘이 굉장히 세고 날카로운 손톱으로 사람을 공격하지만, 뻣뻣해서 걷지 못하고 두팔을 뻗고 겅중겅중 뛰어다닌다.

주술적으로 일부러 죽인 시체를 깨어 강시로 불러낼 수도 있고, 반대로 부적을 붙여 강시를 멈춰세울 수도 있다. 홍금보 감독의 귀타귀 영화(1980년 작)에 등장, 당시 구미호 밖에 모르던 한국인에게 충격과 공포를 안겨주었다.

demory@sportsseoul.com

★좀비는 무엇?=

좀비는 무국적이다. 원래 좀비(Zombie)는 아프리카 토속 신앙인 부두교(Voodoo Cult)에서 등장하는 신 중 하나였지만, 흑마술로 되살려낸 시체를 뜻하는 말이 되었다.

이후 드라큐라 등 뱀파이어의 전설이 혼합돼 좀비가 사람을 물면, 물린 사람도 좀비가 된다는 설정은 1968년 미국 조지 로메로 감독이 연출한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Day of The Dead)’에 처음 등장한다. 이후 다양한 좀비 영화가 제작되며 현재와 같은 캐릭터로 굳었다.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