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주란(文珠蘭)양 가요계(歌謠界)를 떠나(1970년 4월 12일) 






가수(歌手) 5년만에 지쳐버린 소녀(少女) 


『한번 결단을 내리니까 한결 마음이 가벼워졌어요』- . 가수생활을 청산키로 결심한 문주란(文珠蘭·20)양은 착 가라앉은 목소리로 입을 열었다. 「천재적 소녀가수」칭호를 들으며 가요계에 귀여움을 독차지 했던 문주란이 마침내 은퇴를 결심하게 된 까닭은 무엇일까? 



4월1일 아침 문주란은 작곡가 백영호(白映湖)씨를 찾아갔다. 5년전 그를 「데뷔」시켜 「톱·싱어」의 위치에 올려놓은 은사에게 작별인사를 하기 위한 것. 


그러나 이 장면은 5년전 이들 「콤비」가 『동숙의 노래』의 「히트」 때 짓던 활기찬 웃음과는 너무나 대조적이었다. 문주란의 수척하고 창백한 얼굴엔 활기가 없었다. 


백씨는 문자란의 「가수은퇴」를 되도록 번의시키려 애쓰고 있었다. 그러나 문주란은 자신의 은퇴결심을 확인이라도 하려는듯 『죽어도 가수는 다시 않겠다』고 다짐했다. 『너무 오랫동안 방황했어요. 주변에서 말리면 자꾸 괴롭기만 할 뿐예요』


은퇴할 생각은 지난해 2월부터. 즉 그가 음독소동을 벌였을 때부터 이미 갖고 있었단다. 그 까닭은? 


『골치가 아파서 그래요. 몹시 피로해요. 내가 생각했던 가요계와는 너무 달라요. 어린 탓인지는 몰라도 내가 감당해 나기기에는 너무 벅찬 생활이에요』 


나이답지 않게 피로하다, 환멸을 느꼈다는 발언이 자꾸 튀어나왔다. 『인기를 유지하기 위해 인격적인 모독을 감당해 가면서까지 발버둥 치고 싶진 않다』고 강조했다. 


- 인격적은 모독이란? 


작곡가 백영호씨가 곁에서 말을 받았다. 


『인기가 전만 못하고 대수롭지 않은 신인들이 날뛰고 있으니까 그게 아니꼽다는 생각도 들 거』라고. 그러나 문주란은 『방송국, 「쇼」단, 어디든지 가수를 함부로 욕하고 깔보는 습성이 있다. 가수라면 누구나 당장 집어치우고 싶은 충동을 느껴보지 않은 사람이 없을 거』라고 말했다. 


6년전 15세로 「데뷔」한 문주란은 「한국에서 가장 매력적인 저음」의 소녀가수로 각광을 받았다. 그의 등장은 그뒤 홍수처럼 쏟아져 나온 10대(代)가수의 「붐」을 불러 왔다.


『동숙의 노래』 『타인(他人)들』 『낙조(落照)』 『초우(草雨)』 그리고 최근의 『별빛 속의 연가(戀歌)』에 이르기까지 취입곡이 근 5백곡. 독집만도 3개 갖고 있다. 


「데뷔」가 전례없이 「센세이셔널」했던 만큼이나 그의 인기 저하도 허망했다. 문주란의 명성은 처음 2년간의 급등과 그뒤 3년간의 「슬럼프」로 계산될 수 있다. 


정상의 인기에 부풀었던 소녀의 마음이 그 뒤의 「슬럼프」에 여지없이 구겨지고만 셈이다. 이 「슬럼프」를 그는 감당해 내지 못한 거라는 해석도 나올 법하다. 


『제일 즐거웠던 게 철 없이 기뻐하던 「데뷔」시절 같아요. 남이 알아준다는 게 무조건 즐겁기만 했어요』 


『제일 슬픈게 연예계 밑바닥을 알고 나서예요. 죽어도 다시 가수는 않겠다는 결심을 하게 됐으니까요』 


- 앞으로는 무엇을 할 것인가? 


『우선 서울을 떠나 좁은 사회에서 혼자만의 생활을 하고 싶어요』- 차도 팔고 짐도 부산집(양친이 살고 있는)에 다 부쳤단다. 


은퇴 이유를 「슬럼프」에 두고 있는 백영호씨는 문주란이 마지막으로 정성을 쏟은 노래 『임 찾아 왔소』가 지금 반응이 좋으니까 이 노래의 「히트」로 재기(再起)의 기회를 잡는게 어떠냐고 계속 만류했다. 이것은 백씨뿐만 아니라 문주란의 재능을 아끼는 많은 연예인의 권고다. 


그러나 문주란은 『이 정도라도 알아주실 때 깨끗이 떠나겠어요』- . 고집을 굽히지 않았다.


<서울신문 제공> 






스포츠서울은 1960~70년대 '선데이서울'에 실렸던 다양한 기사들을 새로운 형태로 묶고 가공해 연재합니다. 일부는 원문 그대로, 일부는 원문을 가공해 게재합니다. '베이비붐' 세대들이 어린이·청소년기를 보내던 시절, 당시의 우리 사회 모습을 현재와 비교해 보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 될 것입니다. 원문의 표현과 문체를 살리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일부는 오늘날에 맞게 수정합니다. 서울신문이 발간했던 '선데이서울'은 1968년 창간돼 1991년 종간되기까지 23년 동안 시대를 대표했던 대중오락 주간지입니다. <편집자 주>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