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익3

[스포츠서울 남혜연 대중문화부장]사람의 온기가 가장 많이 느껴지는 감독일 것이다.

바로 영화 감독 이준익(58)이다. 온화한 미소로 모든 것을 포용하는 것 처럼 보지만, 깊이 들여다 보면 그 눈이 매섭기도 하다. 하지만, 이것이 전부는 아니다. 한겹 더 깊이 들여다 보면 사람 그리고 삶을 대하는 태도가 굉장히 따스하고 배려가 가득하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일까. 그의 영화는 늘 사람의 일상과 그 시대의 아픔을 다루기도 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상을 살아볼 만해!’라는 깨달음을 주기도 한다.

웃다가 울다가 결국에는 나 자신을 돌아보는 힘을 갖게 하는 게 바로 영화감독 이준익이 우리에게 주는 힘이 아닐까.

1000만 영화 ‘왕의남자’를 시작으로 그는 대중의 관심을 받았고, 현재까지 쉼없는 작품활동을 통해 관객들과 소통을 하고 있다. 재미있는 점은 이 영화들이 각기 다른 연출방향 그리고 분위기를 나타낸다는 점이다. ‘이준익표 영화’라는 것이 절대 성립되지 않는, 대신 ‘이준익의 마법’은 이해되는 상황이다. 이준익 감독은 이에 대해 “나는 영화 배우, 스태프들이 있는 놀이터의 관리인이기 때문”이라면서 웃기만 했다.

이준익 감독을 만난 그날은 최근의 개봉작인 ‘박열’이 100만 돌파라는 기록을 넘어선 시점이었다. 사무실로 축하인사를 하러온 영화 관계자를 향해 그는 “저 ‘소 뒷걸음 치다 쥐 잡은 격’이에요. 어쩌다 잘 된거에요”라며 허허실실 웃기만 했다. 겸손함 그리고 긍정적으로 삶을 대하는 방식이 자연스럽게 좋은 방향으로 이끌게 한 것은 아닐까. 감독 이준익 보다는 사람 이준익이 더 궁금해진 인터뷰였다.

-그동안 이준익 감독의 캐스팅은 탁월했습니다. ‘왕의남자’ 이준기 부터 이번 ‘박열’의 이제훈 까지.

사실 저는 배우를 자세히 보지 않아요. 대충 봐요. 내 성향과 습관이죠. 사람을 자세히 본다는 것은 미안한 일이니까. 사람을 대충 보면, 그 사람의 무의식이 보여요. 자세히 보면 의식해서 관찰하려 하죠. 무의식을 관찰하려들면, 가르치려 드는 것 처럼 보이죠. 진실된 소통을 위한 나의 태도에요.

만약 어떤 사람이 모난 면이 있다면, 거기에는 이유가 있는거에요. 사실은 나도 한 때 굉장히 모난 면이 도드라졌던 시기가 있었죠. 사회로 부터 받은 상처때문에, 자기가 처한 상황을 극복해 나가는 과정 안에서 권력자 혹은 상급자 및 선배 등 그런 사람들과 부딪치는 과정에서 생기더라고요.

사람을 지적 대상이나 경계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같은 공감의 대상으로 봐야해요. 그 부분 자체로 놀라운 잠재력이 키워지죠. 불만이 있다는 것은 자기 생각이 있다는 것이죠. 생각이 없으면, 불만도 없어. 모든 배우가 다 그래요. 우연히 그런 것들을 함께 공감하는 과정안에서 아주 특별한 관계가 되는거지. 난 특별한 관계로 가기 위해 별다른 행위를 하거나, 별도의 시간을 갖지 않아요. 공적인 관계인데, 사적으로 밥을 먹지 않아요. 그렇기 때문에 모든 배우들과 그렇게 특별하지 않아요. 아! 한명 있다.(웃음) 정진영은 사적으로 밥을 먹거나 만나요.

-‘이준익 감독’의 영화는 모두 다 다릅니다. 다양한 소재와 함께 특별히 두드러진 장르나 성격이 없다고 해야할까요?

내 밑천으로 하는게 아니라서 그래요. 배우와 감독 그리고 촬영 감독, 음악 감독 등 그들의 밑천을 영화에 온전하게 담기위한 나의 태도라고 해도 될거에요. 이런 것들이 영화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동력이니까. 한 감독이 영화를 한편 만든다는 것은 세계를 구축하는 일이죠. 자신이 표현해 낼 수 있는 자질과 능력이 바닥이 난거야. 그래서 타인의 능력을 인정해야하는 거죠. 거기서 부정하면 인생이 돌돌 말리는 거죠.

영화 ‘소원’을 할 때는 설경구한테 엄청난 은혜를 받았어요. 그 배우가 갖고있는 잠재력은 무궁무진해. 영화를 찍으면서 주연 배우인 설경구가 임하는 자세나 태도는 그 이야기를 끌고가는 엄청난 힘이 됐어요. 설경구 때문에 영화가 잘됐죠.

‘황산벌’과 ‘왕의남자’는 같은 감독이 만든 것 같지 않죠? ‘동주’와 ‘박열’도 같은 연장선상에서 같은 감독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전혀 다른 영화죠. 이준익의 힘이 아니라는 말이에요. 거기에 참여한 배우나 스태프들의 자유의지를 극대화해 얻어낸 결과물이죠.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준익 감독의 영화는 모두 다른 가운데 인간의 애환과 소외된 사람들이 많이 보입니다.

모든 인간은 자신이 소외됐다고 생각해요. 대통령도 스타도 소외감을 느끼는 게 인간의 본질이죠. 어릴적 부터 장롱속에 들어가고 싶다는 생각을 종종 하잖아요. 이것은 자발적 소외이기도 하죠. 인간의 습성이기도 하고요. 빨리 나가고 싶은 욕망도 있고. 들어갈 때는 무엇인가 자기만의 공간, 욕구 때문에 들어갔으나, 밖에 나오면 반가운 식구들이 있잖아요. 그래서 나오고 싶어하는 게 인간의 습성이죠. 이런 것을 그리고 싶었어요.

- 한번에 ‘오케이!’라고 외치는 연출에 배우들이 혼란스러움을 겪기도 합니다.

어떤 장면을 찍든 공포와 두려움이 더 많아요. 그래서 더 준비를 안해요.(웃음) 그날 아침에 현장에 가서 “오늘 뭐 찍어?”이렇게 물어보고 시작하거든요. 대신, 집중력이 뛰어나, 순간의 직관으로 영화를 찍죠.

처음 하는 배우들이 장시간 혼란스러움을 겪어요. 대표적인 사람이 안성기 선배였어요. ‘라디오 스타’의 공연장면을 찍는데, 엑스트라만 300명이었죠. 카메라 한대 갖고 찍는데 막 찍었어요. 금방 다 찍으니까 그날 안 선배가 (박)중훈이한테 “중훈아. 이렇게 해도 영화가 되니?”라고 했대요. 중훈이는 나랑 ‘황산벌’을 해왔으니까. 잘 알잖아요. 중훈이가 “아! 형님. 그렇게 하세요”라고 말을 했나봐요. 저는 촬영 다음 날 꼭 전날 현장 편집본을 들고 가거든요. 그 편집 장면을 본 안 선배가 “야, 이렇게 찍어도 영화가 된다”라고 했다고 해요. 같이 일했던 대 선배 배우가 첫 촬영의 불안을 안도감으로 전환시킨 시점으로 굉장히 뿌듯했죠. 각자 다 마음대로 해서 찍은거죠. 그래서 자유분방한 것이고, 절대 통제하는 법은 없어요.

난 스트라이크존이 넓은 감독이에요. 놀이터가 있으면, 난 관리인이죠. 배우는 어떤 장면에서도 혼자 연기하는 법은 없어요. 다 같이 해요. 누군가 그네를 타면, 시소를 타고, 뺑뺑이를 도는 사람도 있는 거니까. 한마디로 영화가 조화롭기 움직이기 위해 관리를 하는 것은 바로 나, 감독의 몫이라고 생각해요.

whice1@sportsseoul.com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