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하의 거리를 맨발로 다니는 철학도 (1969년 1월 12일)


그 괴벽한 아들이 괴벽했던 아버지를 만나면




이 한겨울에 맨발의 청년이 출현했다. 작년 여름에 길다란「오버」를 입고 다닌 김인범(金仁凡)(19·서울문리대 철학과 2년)군. 본인은 입고 싶을 때 입고 벗고 싶을 때 벗는 것이라고 계절과 세상의 공론에 초연하지만 그「초연」의 저변은 궁금하기만 하다.


차디찬 콘크리트 바닥에 맨발로 서서 유유히 미술전을 감상


그의 그런 모습은 이미 서울 명물의 하나인지도 모른다. 68년 12월 28일, 더 정확히 말하면 하오 2시 정각. 따뜻한 날씨라지만 바람은 역시 동짓달 바람이다.「오버」는 분명히 입고 있었다. 그런데 벗은 것이 있었다. 신발과 양말. 모든 사람이 옷을 벗을 때 외투까지 입고, 남들이 애써 두텁게 입고 낄 때 맨발이 됐다. 그는 그 차림으로 신문회관화랑으로 들어갔다. 거기서는 이화여중·고교 학생들의 그림전시회(12월 26~30일)가 열리고 있었다.


입구를 지키던 여학생이며 그림을 보러 온 사람들이 수군수군 하기 시작했다. 그는 유유히 약 30분간 그림감상에 몰두했다. 옆구리에 대학「노트」한 권과 책 두 권을 끼고 있다.「칸트」의『순수이성비판』의 영어판. 그리고 또 한 권은 조가경(曺街京)교수의『실존철학』. 젊은 낭만의「데먼스트레이션」치고는 괴로운 고역같이 보는 것은 남들의 무책임한 수작이다.


이 인범군이 새해에 진갑을 맞는 아버지 김소운(金素雲·수필가)씨와 서울시내 무교동 S다방에서 우연히 부딪쳤다. 인범군은 여름에 입었던 아버지의 불하품인 그 외투에, 맨발의 천사.「父」와「子」는 오래도록 한 자리에 만나 별로 할 말이 없었다. 인범군이 고개를 한번 꾸벅하더니 그 자리에 섰다. 아버지는 아들의 아래위를 한번씩 훑어보았다. 그리고 입을 열었다.


『거기 앉아라』


아들이 머뭇머뭇 의자에 앉았다.


『너 이놈, 요즘은 맨발로 다닌다지. 오늘은 날씨가 따뜻하지만』



우연히 만난 아버지는 쓴 입맛 다시는데 아들은 말없이 씩 웃고


아버지는 쓴 입맛만 다셨다. 아들은 그저 고개를 숙이고 묵묵부답. 그러다가 고개를 들고 씩 한번 웃었다. 아버지는 무연(撫然)한 표정으로 외면한 채 줄담배만 피웠다.「가경(佳景)」이었다. 갖은 괴벽과 기행으로 젊음을 얼룩지게 한 수필가도 아들에게는 그것을 바라지 않는 눈치다. 이때 소운선생은 혹시 젊었을 때의 자기를 생각하고 있었을까?


그 다방을 나올 때 아버지는 아들에게 무엇인가 주의를 주면서 용돈 얼마를 건네는 눈치였다. 부자회견 후 인범군에게 감상을 물었다.


- 아버지가 놀랐겠는걸요.


젊은이의 대답이 걸작이었다.


『뭘요, 그 정도로 놀랄 아버님이 아닌 걸요』


기자는 김군과 다른 다방으로 옮겨 마주앉았다.


- 미쳤다는 소리를 듣겠군요.


씩 웃는다.


『그런 말을 속삭이는 사람들이 있죠. 저는 황송스러운 말씀이라고 부득이 사양할 수밖에 없습니다』


- 왜?


『사전을 보면 두 가지 뜻이 있어요.「정신이상」과「도달」. 미치지(狂) 않고 미치기(達)는 쉽지 않은 법입니다. 어느 예술의「장르」나, 학문의 정상에 도달했다고 알려진 사람들은 대개 거기에「미치게」마련이죠. 그러한 찬사(讚辭)는 제게 과분입니다』


“뜻밖이라 아버지가 놀랐겠는데요”엔 “그 정도론 놀라지 않을 분”


- 여름에 외투를 입는다는 것은 그래도 참을 수가 있겠지만 겨울에 신발을 벗으면 동상에 걸리지 않겠어요?


『오늘 정도의 날씨면 까딱 없어요. 선생님도 한번 벗어 보세요. 영하 10도쯤 돼야 동상에 걸려요.』


- 그러면 영하 10도 아래가 돼도 벗고 다니겠어요?


대답 없이 다만 웃었다. 미치기는커녕 누구보다도 똑똑한 청년이다.


키 173cm의 헌칠한 미남. 경기중학을 졸업, 서울문리대 철학과에 입학했다. 68년 10월에 서울문리대에서 각 학과의 학생 4명씩이 선수로 출전해서 주선(酒仙)대회가 열렸을 때 철학과 대표의 한 사람으로 나갔다. 그 때의「인사이드·스토리」로는 국문학교수 전광용(全光鏞)씨가 그를 우승자의 하나인 주선(酒仙)으로 적극 추천했다는 소문이다.


겨울에 신발을 벗고 대로를 활보하는 뜻은 자유스러워지고 싶기 때문이라고 했다. 한편 인범군의 이 색다른「데먼스트레이션」을 그의 아버지 김소운씨는「구린내 나는 자기 현시욕(現示慾)」이라고 타박이지만 죄는 그의「피」에 있을 듯하다.


김소운씨는『젊었을 때는「바이론」의 흉내를 내기 위해 오릿길을 일부러 절룩거리면서 걸었다』고 어떤 책에 썼다. 그뿐 아니다. 김소운씨의 자전적「에세이」『어느 하늘 끝에 살아도』라는 근저(近著)를 보면 아들 인범군 못지 않을 고집과 기행이 드러난다.


아버지 김소운씨는 일본에서 일부러 하얀 바지 저고리를 입고 다녔단다.「父와 子」의 성격의 유전을 느끼게 하니 흥미롭다. 그 책에 의하면 어려서 일본에 건너갔을 때 김소운씨는 일본에서 고의로 하얀 바지 저고리를 입고 다녔다. 소년의 객기(客氣)만이 아니었다고. 일부러 눈에 띄는 그런 옷차림으로 나다니면서『여기「조센징」이 있다. 어느 놈이고 한번 덤벼 보아라』그런 기분이었다고 한다.


그 아버지의 상식을 초월한 괴벽 기행(奇行)이 점철되어 흥미롭다.


-「데이꼬꾸쯔싱」에 사표를 내고 하숙비가 밀렸던 여관에 이부자리며 행장을 맡긴 채 육로를 걸어서 서울에서 부산까지 내려갔다. 열 나흘 걸렸다. 노자를 아껴서 도보로 천릿길을 가자는 것은 아니다. 주머니에는 그래도 부산행 차표 네 다섯 장은 살만한 돈이 있었다.


자기 자신을 어디다 부딪치지 않고는 견딜 수 없는 충동이 장거리「하이킹」을 시켰단다. 이 여행으로 김소운씨의 발바닥은 물론 부르텄다.


그 아버지의 피를 이어받은 인범군이다. 더욱이 가정교사와 장학금으로 당당한 자립생활을 하는 청년이다. 아마도 그 고집은 청출어람(靑出於藍)격인지도 모를 일이다.


<서울신문 제공>




스포츠서울은 1960~70년대 ‘선데이서울’에 실렸던 다양한 기사들을 새로운 형태로 묶고 가공해 연재합니다. 일부는 원문 그대로, 일부는 원문을 가공해 게재합니다. ‘베이비붐’ 세대들이 어린이·청소년기를 보내던 시절, 당시의 우리 사회 모습을 현재와 비교해 보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 될 것입니다. 원문의 표현과 문체를 살리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일부는 오늘날에 맞게 수정합니다. 서울신문이 발간했던 ‘선데이서울’은 1968년 창간돼 1991년 종간되기까지 23년 동안 시대를 대표했던 대중오락 주간지입니다. <편집자 주>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