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포토] 슈틸리케 감독, 격렬한 몸짓과 표정으로!
슈틸리케 감독이 28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18 러시아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A조 7차전 시리아와의 경기에서 1-0으로 앞선 후반 종료 직전 선수들에게 작전을 주문하고 있다. 김도훈기자 dica@sportsseoul.com

[스포츠서울]스코어만 이기고 내용은 졌다.

홈에서 강한 모습을 보이는 한국은 2018 러시아 월드컵 최종예선 7차전 시리아와 홈 경기에서 어렵게 승리를 얻어냈다. 스코어만 이기고 내용은 졌다. 시리아전 뒤 경기 내용과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했다. 이 분석은 어제 경기에서 기록된 정량적 데이터와 현장에서 오랜 기간 축적된 연구소 소장(신문선)의 정성적 평가를 더한 것이다.

축구의 경기력은 전문가의 견해와 이론에 따라서 갈리지만 첫쩨는 기술, 둘째는 체력, 셋째는 전술을 얘기한다. 과거 크라머 감독은 심리적 요인까지 덧붙여 이야기하곤 했다. 한국은 경기력의 축인 4가지 요인을 따로 떼어 분석하면 매우 불안한 팀이었다. 90분간을 소화하며 드러난 체력과 기술, 전술적인 면에서 상대를 압도하지 못했다. 홈경기임에도 심리적 면에서도 시리아를 앞서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가 바로 스코어는 이겼지만 내용에서는 졌다고 냉정한 평가를 하는 이유다. 물론 목표로 했던 승점 3점은 벌었지만 한국대표팀에 대한 우려섞인 시선과 걱정은 최종예선 내내 이어질 것으로 판단한다.

◇불안한 슈틸리케의 축구

#1.황희찬, 전술적 변화의 시도=

황희찬 선발은 지금까지 시도되지 않았던 새로운 선택이었다. 황희찬은 이전 경기까지 교체 선수로만 출전을 했다. 그의 움직임은 전방압박에서 두드러졌다. 한국은 지난 23일 중국전에서 총 7회 전방압박을 시도, 10회를 기록한 중국에게 밀렸다. 상대 공격 전개 지연에 어려움을 겪었다. 한국은 시리아전에서 17회 전방압박을 기록했다. 기본적으로 전방압박은 상대 수비진의 빌드업(공격작업)을 방해하면서 상대 공격 전개의 속도를 제어하는 플레이라고 볼 수 있다. 황희찬의 투입은 기동력을 배가하여 전방압박을 늘렸다. 그리고 늘어난 전방압박으로 시리아의 수비진에게 상당한 부담을 주었다.

하지만 황희찬 공격적 활용에 대해선 불만족스럽다. 황희찬은 대한민국의 전체 볼터치 605회 중에서 21회를 기록했다. 비율로 보면 약 3.5%다. 교체 투입된 선수를 제외한 데이터 중에서 가장 적은 볼터치를 기록했다. 지금까지 한국은 패턴은 다양성이 부족했다. 그와 달리 이번 황희찬 선발 카드는 상대의 뒷공간을 노리는 유기적인 패스 패턴의 전술적 변화의 판단을 전제로 한 기동력과 파괴력있는 공격 옵션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황희찬에게 투입되는 패스가 그의 터치 또는 볼키핑으로 이어지지 못해 팀 공격 플레이는 효과적이지 못했다. 손흥민의 공격 옵션도 효율적이지 못했다.

이 문제는 물론 황희찬 개인의 책임이라고 단정적으로 이야기하기는 어렵다. 축구는 동료간 팀의 전술적 약속을 전제로한 스포츠이기 때문이다.

#2.슈틸리케호의 아쉬운 공격전술, 그리고 시리아의 무서운 공격=

한국과 시리아는 총 88회 공격시도를 기록했다. 그 중 대한민국은 40회, 시리아는 48회를 기록했다. 공격 시도는 시리아보다 8회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공격 성공은 대한민국이 6회, 시리아는 5회를 기록했다. 이것을 기반으로 공격 효율성 지수를 계산했다. 효율성 지수에서 대한민국은 15%, 시리아는 10.42%로 약 4% 대한민국이 앞선 것으로 파악됐다. 점유율은 최종 6대4로 마무리 되었으나 공격시도에서는 시리아가 더 많은 빈도를 기록했다. 이 데이터는 높은 점유율과 공격시도는 반드시 정비례 하지는 않다는 것을 증명해준다. 시리아는 빌드업 과정의 점유를 자제하고 공격에 힘을 쏟은 데이터상의 결과물이다.

그 중에서도 눈여겨 봐야할 점은 패스 실패에 따른 공격 실패다. 한국은 공격 시도 중 패스 실패로 인한 공격 실패가 52.5%를 기록했다. 반대로 시리아는 72.92%를 기록했다. 이 데이터를 역설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와 상반되는 정성적 평가 기법이다. 한국은 횡패스와 백패스를 통해 공세를 이어가는 특유의 경기 운영이 패스 성공률과 공격 성공, 실패에 데이터상 긍정적 영향을 끼친 반면 시리아는 비록 패스실패율이 높았지만 공격속도를 배가하는 직선패스와 스루패스 비율이 높다보니 나타난 현상이었다.

이 현상은 경기 내내 대한민국 수비와 팬들이 가슴을 졸이며 경기를 볼 수밖에 없었던 상황으로 연결됐다. 데이터상 나타나는 함정을 정성적 시각에서 해석, 분석한 대목이다.

#3.전·후반 경기 운영=

한국의 경기운영은 패스워크 비교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난다. 전반전에는 패스를 이용한 경기운영을 했다. 전방과 후방을 오고가며 후반전에 비해서 경기장을 넓게 썼다. 남태희가 오른쪽 측면이 아닌 중앙 쪽에 쏠리면서 오른쪽 측면자원의 공격전개가 원할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지만 남태희 개인의 움직임은 활기 찼다. 손흥민 쪽에 쏠린 단순한 공격전개가 경기운영의 단조로움으로 이어져 시리아 수비를 효과적으로 공략하질 못했다.

앞서 언급한 황희찬의 전술적 기여와 관여성이 기대이상 해주지 못한 문제가 이러한 전술적 부분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축구 경기력의 중요 축인 전술을 세가지로 나누어 세분해서 볼 필요가 있는 대목인데, 황희찬-손흥민-남태희로 조합된 부분전술에서의 완성도, 완결성에 아쉬움을 남긴 대목이다.

CropArea0000

후반전은 부진했다. 특히 후반 15분까지 상대의 일방적 공격에 허덕이는 큰 문제를 드러냈다. 이러한 문제는 후반전 패스네트워크에 반영됐다. 후반 네트워크상 전반전에 비해 전체적으로 처진 현상으로 나타난 이유이다. 수비-허라-공격라인의 밸런스 실종은 공세시 공격수로의 패스 연결이 원할치 못했고 답답한 경기를 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현상은 왜 나타났을까. 시리아의 전방 압박의 효과적 수비에 대응하지 못한 문제였다. 황희찬 손흥민, 남태희가 상대의 그물 수비를 뚫는 공간확보와 위치 이동과 변동, 미드필더와 좌·우 풀백의 공격 가담 등의 유기적 움직임으로 상대의 전진 수비를 깼어야 했지만 이러한 움직임은 전·후반 90분 동안 여의치 못했다. 특히 후반 15분 동안 그 정도가 심각했다.

후반 중반 이후 기성용의 날카로운 스루패스를 바탕으로 황희찬, 손흥민이 만든 찬스가 바로 해법이었다. 특히 공격의 핵심인 손흥민의 평균 활동 범위가 전반전에 비해 내려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공격 전술에서 손흥민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 아쉬움이다. 손흥민은 상대 골문으로 향하는 상황을 만들어 주어야 진가를 드러내는 선수이다. 이러한 선수의 특성을 반영시켜 팀 전력을 배가시키는 것이 전술이고 이 전술은 개인 및 부분, 팀 전술로 나뉘어 경기중 나타난다.

시리아전에서 한국 선수들은 경기에 몰입하며 개인 전술에서도 상대를 압도하지 못한 아쉬움이 컸다. 아울러 부분 전술, 팀 전술의 준비와 완성도에서도 기대 이하였다. 이러한 전술적 문제는 개인 벨류에서는 앞서는 팀이지만 경기 내용에서는 시리아에게 몰린 경기를 한 가장 큰 원인이기도 했다. 선수 개개인이 역할 즉 기량이 상대를 제압하지 못하면 부분 전술이나 팀 전술 역시 효력을 발휘하기 어렵다. 후반 경기 내내 한국은 전술적으로 불안함을 드러내며 시리아의 거친 공격에 시달릴 수밖에 없었다. 그나마 기성용의 노련한 컨트롤(공·수의 완급조절)이 없었다면 한국은 홈에서 동점골 더 나아가 역전골을 내줄 수 있는 위기의 순간이 너무나 많았을 것이다.

#4.달라진 세트피스의 집중력=

손흥민이 오른쪽에서 올린 코너킥 장면에서 홍정호의 골이 나왔다. 세트피스시 공격에 가담한 홍정호의 공격가담이 효과를 거둔 점이다. 홍정호의 골은 승점 3을 얻는 귀중한 골이었고 이 골은 손흥민의 날카로운 코너킥에서 시작된 점을 살펴야 한다. 특히 득점 순간 페널티 에어리어 내에서 선수가 적었던 한국이지만 효율적 움직임과 세컨볼에 대한 집중력으로 골을 기록한 것은 칭찬할만하다. 특히 고명진의 역할이 보이지 않는 골 기회에 관여했다. 페널티지역 중앙에서 가까운 쪽 포스트로 빠져나오며 수비 간격을 벌려 공간을 만들었다. 이것이 수비의 실책을 유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골을 만들어 냈기 때문이다.

#5.후반 공격적인 시리아에 대한 대응 방법의 의문점=

대한민국과 시리아의 경기를 전·후반으로 나눠보면 상황에 따른 경기운영에 아쉬움이 남는다. 시리아의 경기운영은 전반과 후반이 확연하게 달랐다. 시리아의 후반은 시작과 동시에 강력한 공세전환의 전술적 변화를 꾀했다. 이에 대처하지 못하고 허둥대던 약 15분은 최악의 경기였다.

시리아의 전반에는 패스 시도의 80%가 수비지역과 미드필드 지역에서 이루어졌고 공격지역에서는 20%가 이루어 졌다. 이것은 한국의 공격수에 대한 대비로 수비라인을 내려 뒷공간을 주지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 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정적으로 선 수비 후 역습 형태를 취했던 시리아로 판단된다.

시리아는 후반전에 달라진 전술을 적용했다. 0-1로 지고 있는 상황을 뒤집기 위해서 강력한 공격 전술을 선택했다. 이를 증명하는 데이터로 수비지역과 미드필드지역은 67%로 집계 되었고, 공격지역은 33%로 증가했다. 또한 공격점유율 또한 후반 시작부터 55분까지 7대3으로 한국을 앞섰다. 이 데이터는 시리아가 내려앉아서 플레이를 하기보다 수비라인을 올려 공격적으로 득점에 대한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다시 한번 언급하지만 손흥민의 활용에서 아쉬움을 남긴 슈틸리케였다. 특히 전방에서 라인을 무너뜨리고 돌파에 집중해야 할 손흥민이 내려앉아서 수비 지원에 나섰다. 손흥민의 소속팀인 토트넘에서의 역할인 뒷공간 돌파 및 쇄도 역할과는 정반대의 활용이었다. 상대 수비가 라인을 높게 올렸을 때, 수비 뒷공간은 그만큼 넓어진다. 이러한 공간이 넓을 때 손흥민은 최고의 활약을 보여준다. 하지만 슈틸리케 감독은 넓어진 뒷공간을 활용해야할 시점에 낮은 위치에서 수비지원을 하는 손흥민에게 공격적 변화를 주지 못한 전술적 선택은 공격부진으로 이어졌다. 이는 전반보다 ‘넓어진 시리아의 뒷공간의 약점’을 파고들지 못했다. 결국, 대한민국은 전술과 패턴에 의한 완성도 높은 경기를 운영하지 못했다.

손홍민의 활용도가 처지면서 시리아 수비선수들의 공격가담을 자유로웠던 점이 후반 경기 부진의 가장 큰 원인이었던 점도 지적한다.

황희찬을 교체하고 돌파와 쇄도에 비교적 약한 이정협과 소속팀에서 부진을 거듭하고 있는 황의조를 투입하는 선택은 슈틸리케의 ‘손흥민 활용법’과 교체를 통한 경기 흐름의 반전 즉, 전술적 운용에 대한 의문과 신뢰에 높은 점수를 주기에는 한계가 있었던 경기였다.

◇기본 데이터로 본 시리아전…선취골 뒤 형편 없었다

한국은 시리아에게 이겼지만 패배한 것 같은 인상을 준 경기였다. 물론 이겼다. 하지만 내용 면에서는 부족한 경기였다. 경기력 지수로 경기를 평가하면 시리아는 한국과 거의 대등한 경기를 펼친 것을 볼 수 있다. 홈 경기였음에도 말이다.

슛은 한국이 12개로 8개인 시리아보다 4개가 많다. 하지만 유효슛 비율에선 시리아가 50%, 한국이 41%로 정확도면에서 아쉬움을 남겼다. 시리아의 최종예선 전체에서 가장 많은 유효슛을 기록한 횟수는 경기당 4회로 한국과의 두 경기가 모두 그렇다. 한국의 수비가 시리아에게 가장 많은 기회를 제공한 것을 보여준다.

슛 위치에서도 이번 경기는 수비적 문제가 많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시리아는 지난해 9월6일 한국과의 1차전에서 페널티지역 내에서 30%, 밖에서 70%의 슛을 했다. 이번엔 페널티지역 내에서 50%, 밖에서 50%를 기록했다. 한국 수비가 마크와 커버 등에서 문제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크로스 성공률은 지난 중국전에 비해서 많이 올랐다. 14%에서 33%로 올랐다. 전술상 크로스의 남발이 아닌 적절한 크로스를 지향한 것으로 보인다. 눈에 띄는 데이터는 패스차단이 많았다는 것이다. 6경기 평균데이터를 보면 대한민국은 19회, 시리아는 44.3회를 기록했었다. 시리아와의 2차전에서는, 한국의 패스 차단이 35회로 늘어났고 시리아는 43회를 기록했다. 이 기록은 한국이 선취골을 넣고 수세로 몰리며 나타난 당연한 결과치였다. 홈경기임에도 상대적 약체로 평가한 시리아에게 공격을 당하며 기록한 패스차단 숫자가 늘어난 것은 경기가 불안했고 상대의 공격이 드셌다는 것을 방증하는 데이터이다.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