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환01

[스포츠서울 | 심언경기자] 자타공인 ‘핫’한 배우 박지환(41)의 목표는 ‘자신을 지키는 것’이다. 지금의 인기를 즐기려 하지 않는 이유도 같은 맥락이다. “조용히 연기만 설거지하듯 하고 싶다”는 그는 앞으로도 배우의 삶을 묵묵히 걸어가겠다고 약속했다.

박지환은 최근 종영한 tvN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노희경 극본· 김규태 김양희 이정묵 연출)에서 정인권 역을 맡았다. 정인권은 외모도 언행도 거칠지만, 내면에는 따뜻한 부성애와 우정을 지닌 인물이다. 박지환은 호불호가 갈릴 만한 캐릭터를 설득력있게 그려내며 극의 중심을 단단히 잡았다.

정인권은 영화 ‘범죄도시’의 장이수와 결이 비슷하다. 돈 때문에 나쁜 길로 빠졌지만 천성이 못되지 않았다는 면에서 그렇다. 두 사람의 공통점을 잡아낸 노희경 작가는 작품에 들어가기 전 박지환에게 “장이수의 80%만 가져와주면 안 되냐”고 부탁했다고 한다.

“작가님이 장이수 캐릭터가 너무 재밌고, 내가 연기했을 때 흥미가 있었다고 하시더라. 많이 가져와서 이해하다 보면 좋을 것 같다고 하셨다. 장이수처럼 연기하라는 말은 아니었고, 그 사람의 결에서 섬세한 감각을 꺼내오라는 것이었다. 비슷하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리액션의 강도가 너무 달랐다. 노희경 작가님의 작업 안에서 날것 같은 짐승 하나가 나오는 게 생소해서 놀랐다고 하더라. 확실히 다른 인물이다 보니까 ‘아무리 그래도 같을 수는 없구나’ 하면서 또 이해했다.”

극 중 정인권의 아들 정현(배현성 분)과 앙숙 방호식(최영준 분)의 딸 방영주(노윤서 분)는 아이를 갖는다. 두 사람은 고작 고등학교 3학년이다. 이에 정인권은 정현은 물론, 방호식과 크게 충돌한다. 현실에서는 아들은커녕 결혼도 하지 않은 박지환이 이러한 갈등을 연기할 때 어려움을 겪진 않았을까.

“배우는 한 번도 뭘 해본 적이 없다. 살인도 해본 적이 없지만 연기하지 않나. 상상력이 근육처럼 훈련돼서 조직이 생기는 것 같다. 이별을 연기해야 하면, 그런 이별을 하지 않았는데도 계속 한 것처럼 생각한다. 배우가 연기하는 사람은 일반적이지 않다. 끊임없이 습득하고 끌어오고 찾는 것 같다. 참 이상한 일이다.”

실제로 미성년자 자녀가 아이를 낳겠다고 하면 어떻게 대처하겠냐는 질문에는 “공감이 되면 어쩔 거고 안 되면 어쩔 거냐고 생각한다. 일어난 일을 잘 해결해야 성숙한 어른이다. 사건은 무조건 벌어지기 마련이다. 사건이 벌어진 후 태도에서 그 사람의 모습이 잘 드러난다. 최선을 다해 아름답게 해결하고 싶다. 정인권도 감당이 안 됐지만 결국 행복해지지 않았나. 그 과정을 도출하려 애쓸 것 같다”고 답했다.

박지환01

일각에서는 정현과 방영주의 서사가 미성년 임신을 미화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애당초 반응을 생각하지 않고 연기에 임했다는 그는 “예상하기 시작하면 혼탁하게 연기가 흘러간다. 배우는 그 사건에 합류만 하면 된다. 말도 안 되는 흐름이 있으면 의견을 나누고 조정했을 거다. 많이 생각했으면 연기가 어색했을 것 같다. 욕먹지 않으려고 하는 연기나 논란을 비껴가는 해답이 있겠지만, 이 인물에 맞게 확실히 부딪히는 게 멋진 배우의 태도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가 꼽은 최고의 에피소드는 ‘옥동과 동석’이다. “대본을 보는데 못 넘기겠더라. 처음 읽은 날 오열했다. ‘그만 좀 울려. 제발’ 이랬다. ‘이걸 이렇게 썼다고?’ 싶고 주체가 안 되더라. 손이 막 떨렸다. 대문호만이 쓸 수 있는 아름다움을 녹인 거다. 도자기 하나를 구웠는데 너무 아름다운 달항아리를 본 거다. 슬픔도 있고 아름다움도 있고, 어쭙잖은 내 감성으로는 작가님의 글을 설명할 수 없다. 알다가도 모르겠다. 배반의 미학을 잘 알고 계신 것 같다. 배반의 미학. 선점해서 데려간다. 읽히지 않는다. 미치고 팔짝 뛴다. 항복이다.”

평소 노 작가의 팬이었다는 그는 ‘우리들의 블루스’ 대본을 ‘문학’에 빗대어 설명했다. “산문처럼 들어올 때도 있었고, 어떤 챕터는 지문이 에세이였다. 어떤 장면은 대사가 완전 연극이다. 소설처럼 읽었다. 너무 행복했다. 문학이 대본을 향해 비틀어져 있는 모습이었다. 시퀀스를 구성하기 위해 문학적 소양을 오묘하게 놓으셨다. 초짜도 읽기만 하면 연기할 수 있는 대본이다. 지문이 네 줄이고 대사가 한 줄이다. 지문 그대로 연기해야 했다. 지문이 너무 완벽해서 다 연기해야 이야기가 쌓인다. 그걸 무시하고 대사만 하면 정서가 급해진다.”

대본의 짜임새가 촘촘할수록 연기의 자유도는 낮아질 수밖에 없다. 배우로서 답답했던 부분이 있을 법도 하다. 그러나 대본을 달달 외우기보다 캐릭터에 체화돼 상황을 습득하는 편인 그에게는 문제 될 것이 없었다.

“계획적으로 하지만 은근히 나를 무자비하게 무너뜨리기를 바란다. 새롭게 펼쳐지는 걸 좋아한다. 순대 공장신의 경우 두 번 리딩하고 대본을 본 적이 없다. 한두 번 정확하게 읽고 흐름을 상상한다. 막 한다는 얘기가 아니다. 대본의 공기를 많이 담으려고 하는 것이 오랜 습관이자 대본을 대하는 나만의 방식이다. 사람들은 대본을 보지 않고 그 장면을 처음 마주하지 않나. 스스로 생소하다고 느끼지 않을수록 시청자들은 그냥 연기로 본다. 투박하고 낯설어야 멋이 드러나는 것 같다.”

연극 무대에서 청춘을 보낸 그는 2006년 영화 ‘짝패’ 단역으로 데뷔, 단역과 조연을 오가며 다수의 작품에 출연했다. 오랜 시간 빛을 보지 못했으나, 2017년 인생작으로 꼽히는 ‘범죄도시’를 만나면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그리고 올해 ‘우리들의 블루스’와 ‘범죄도시2’ 모두 흥행하며 존재감을 확실히 했다. 누구라도 들뜨기에 딱 좋은 시기지만, 그는 스스로 경계하고 또 경계했다. ‘스타’가 아닌 ‘배우’이고 싶은 그의 진심이 느껴지는 순간이었다.

“초지일관 무관심하게 연기만 할 거다. 갑자기 내 요리가 바뀐다고 프랑스 가정식을 하고 싶지도 않다. 여전히 라면을 끓이겠다. 했던 대로 하던 대로 지켜봐달라. 내가 이상한 사람이 되면 신랄하게 욕하셔도 된다. 연기만 하고 싶다. 내 이름 검색도 안 하고, 유명세에 관심이 없다. 바람이 있다면 다양한 역할을 만난다는 설렘이다. 그때도, 지금도, 앞으로도 박지환이다. 유명해지는 게 권력은 아니지 않나.”

박지환01

notglasses@sportsseoul.com

사진|저스트엔터테인먼트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