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544413_001_20220502100702889

[스포츠서울 | 심언경 기자] 시종일관 ‘귀불’ 타령이다. 아이를 잃고 어긋난 부부의 안타까운 사연도, 남편 없이 아들을 키운 파출소장의 강인함도, 시도 때도 없이 애인을 바꿔가며 자신을 방치하는 모친 탓에 엇나간 불량청소년의 과거도, 좀처럼 눈에 띄지 않는다.

구태의연해도 잘 풀어내면 흥미로울 법한 설정이지만 죄다 버렸다. 이에 극을 이끌어가야 할 인물들은 뒷전이 됐고, 그저 ‘귀불’을 소재로 한 오컬트물에 그치고 말았다. 티빙 오리지널 ‘괴이’(연상호 류용재 극본· 장건재 연출)의 이야기다.

‘괴이’는 공개 전부터 화제를 모았다. 영화 ‘부산행’ ‘반도’, 드라마 ‘방법’ ‘지옥’ 등으로 자신만의 세계관을 구축한 연상호 감독이 집필한 작품이었다는 점에서 그랬다. 여기에 각각 넷플릭스 ‘D.P.’, tvN ‘슬기로운 의사생활’로 대세 배우 반열에 오른 구교환, 신현빈이 가세해 기대를 더했다. 더할 나위 없는 ‘작감배’(작품·감독·배우) 조합이었다.

그러나 베일을 벗은 ‘괴이’는 예상과 달리 혹평을 받는 분위기다. ‘단순한 현상 나열만 하다가 끝난 느낌’, ‘뭘 말하고 싶은 건지 모르겠다’, ‘한방이 없다’, ‘이게 진짜 끝이냐’ 등 이야기 자체에 의문을 갖는 반응이 주를 이룬다.

작품의 로그라인은 ‘저주받은 불상이 나타난 마을에서 마음속 지옥을 보게 된 사람들과 그 마을의 괴이한 사건을 쫓는 초자연 스릴러’다. ‘괴이한 사건’보다 ‘마음속 지옥’을 앞세운 만큼 ‘사람들’에게 초점을 둔 이야기라고 짐작할 수 있다.

2022042301001190400086751

2022042301001190400086751

그러나 ‘괴이’의 전개는 이러한 예측을 철저히 비껴났다. 제각기 꽤나 깊어 보이는 인물들의 사연을 파고드는 대신 악귀에 홀린 사람들의 살육 현장에 집중했다. 정기훈(구교환 분)과 한석희(김지영 분)가 까마귀 떼에 쫓기는 신도 긴박감을 부여하는 장치로만 소비됐다. 두 사람은 가족을 구하기 위해 봉쇄된 진양군으로 향했지만, 이들의 언행에서는 어쩐지 절박함을 찾아보기 힘들다.

신현빈의 역할도 의문이다. 정기훈의 아내이자 천재 문양 해독가 이수진 역을 맡은 그는 극 대부분 끔찍한 기억에 몸서리치며 군청 바닥에 누워 있을 뿐이다. 그마저도 피상적으로 그려진다. 딸 하영(박소이 분)의 목숨을 앗아간 택배기사와 어떤 사연이 있었기에 얼굴만 봐도 두려움에 떠는지 납득하기 어렵다. 그토록 골이 깊었던 정기훈과 급작스럽게 화해하는 그의 감정선 역시 당황스럽다.

모자인 한석희와 한도경(남다름 분), 절친했던 한도경과 곽용주(곽동연 분)의 서사도 아쉽다. 특히 곽용주가 출소하자마자 한도경을 찾아갈 정도로 그를 증오하는 이유는 대체 무엇일지 궁금하다. 동질감을 느꼈던 한도경이 자신의 어머니가 파출소장이라는 사실을 숨긴 탓인 걸까. 결국 인물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서사에 살을 붙이는 건 시청자의 몫이다.

주요 인물의 직업은 그저 ‘귀불’ 이야기를 하기 위해 끌어온 것으로 보인다. 정기훈이 괴담을 즐기는 고고학자가 아니었다면, 또 이수진이 귀불을 봉인하는 문구를 읽을 수 있는 문양 해석가가 아니었다면, 전개 자체가 불가능한 스토리다. 주인공인 두 사람이 힘을 합쳐서 귀불 봉인에 성공하게 만들기에는 이만한 직업들이 없었을 터다.

이렇듯 6회 내내 인물들이 좀처럼 힘을 쓰지 못하니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는 말도 나온다. 구교환, 신현빈, 김지영, 곽동연, 남다름 모두 전작에서 탁월한 연기력을 인정받은 배우들이다. 하지만 정작 이들이 연기한 인물은 연기파 배우의 섬세한 표현이 필요 없을 만큼 평면적이었다. 작품과 감독이 잘나가는 배우의 필모그래피에 오점을 남긴, ‘괴이’한 작품이 탄생한 셈이다.

notglasses@sportsseoul.com

사진|티빙

기사추천